Q. 문제에서는 전압이 주어지더라구요. 그런데 이 전압이 선간전압인지, 상전압인지 지문에 없는데, 이를때는 어떻게 구분하면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문제에서 전압이 주어졌을 때, 선간전압인지 상전압인지 명시되지 않았다면 회로 유형과 전압 값의 특징을 확인해야 합니다. 삼상 회로에서는 별다른 언급 없이 주어진 전압이 일반적으로 선간전압 인 경우가 많고, 단상 회로라면 상전압으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래도 애매하면 문제의 조건을 분석하거나 주어진 전류, 임피던스와의 관계를 통해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 송전선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는 단선,단락,지락이라고 하던데요. 단선과 단락은 발생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는데 지락은 어떻게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지락 사고는 전선이 끊어지지 않더라도 절연이 약해지거나 손상되었을 때 전류가 대지로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거나 애자가 오염·파손되어 누설전류가 발생하면 지락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낙뢰, 나뭇가지 접촉, 동물 침입 등으로 인해 전선이 대지와 접촉하지 않더라도 절연이 파괴되면서 지락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Q. 보조배터리가 발화가 되는 이유는 무엇때문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보조배터리는 내부 단락(합선), 과충전, 고온 환경 노출, 물리적 손상 등의 원인으로 발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는 열폭주 현상이 발생하면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발화하거나 폭발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품질이 낮거나 손상된 배터리는 가만히 두어도 내부 화학 반응으로 인해 갑자기 발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Q. 전세계에서 가장 배터리를 잘 만드는 기업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전기차 배터리를 잘 만드는 주요 기업은 주로 한국, 중국, 일본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한국의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중국의 CATL, BYD, 일본의 파나소닉이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CATL은 세계 1위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한국 기업들은 고성능 배터리 기술력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