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과학 기술 인력의 지속적인 유출로 인해서 우리나라의 미래가 어떤 면에서는 안타까울 수도 있겠는데요 대책이 어떤 것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정배 박사입니다.제 생각에는 기초 분야와 응용 분야를 어떻게 밸런스 있게 지원할 것인가 하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판단됩니다.2000년 이후 우리의 과학 공학 기술의 중심이 응용으로 전환되면서, 상당한 발전과 성과를 이루었습니다.그러나, 다시 흐름 상 기초의 중요성이 필요해 보입니다.각 분야의 기초 분야 연구에 대한 지원을 상당히 강화해야 하고, 그것에 대한 재원 확보와 투자 방향에 대한 새로운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Q. 기계공학 기술이 많이 발전하였는데요. 전문가가 생각했을때 예전과 비교하여 크게 변화된 것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정배 박사입니다.예전이라는 개념에 대한 의견은 차이가 있을 거 같습니다.변화라고 하셨으니, 제가 생각하는 방향은 발전보다는 오히려 퇴보 한 거 같은 분야를 소개 드리고자 합니다.요즘 우리는 전기를 직접 이용하는 시스템과 충방전을 이용하는 시스템이아주 흔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요즘 문제가 되고 있는 전기 자동차 화재일반 자동차 화재배터리 폭발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 폭발 등위의 예에서 보듯이 실제 가장 기초적인 분야로 생각되는 열전달 등에 대한설계 초기 고려 단계에서 상당한 기계공학 분야의 발전에도 불구하고실제로는 중요함에도, 기계 시스템 설계 시 열전달 등에 대한 고려가 다소 부족한 것이아닌가 생각됩니다.시스템이 점점 발전할수록 실제 열전달의 중요성은 매우 강조되어야 함에도현실에서는 오히려 기초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