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역류성 식도염이 있을 때 주의해야 할 음식이나 생활 습관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위식도 역류성 질환의 치료 기본 원칙은 생활 습관을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이러한 생활 습관을 평생 지켜야 합니다.① 과식,야식을 피합니다. 식사 후 바로 드러눕지 않습니다.② 기름진 음식, 술, 담배, 커피, 홍차, 박하, 초콜릿 등을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이들은 하부식도 괄약근의 압력을 낮추기 때문에 병이 더 악화될 수 있습니다. ③ 식도 점막을 직접 자극하는 음식인 신 과일 주스, 토마토, 탄산음료(콜라, 사이다 등)를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④ 비만인 경우에는 체중을 줄여야 합니다.⑤ 몸에 끼는 옷을 입지않도록 합니다. 옷이 몸에 끼면 복압이 증가되서 역류가 심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Q. 병원 처방전 약과 약국약 차이가 큰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일반적으로 약은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으로 나뉘어집니다.일반의약품은 처방전없이 약국에서도 구입할 수 있으며, 안전성과 유효성이 인정되어 부작용이 적은 의약품입니다.전문의약품은 처방전이 있어야 하며 부작용의 위험성이 상디적으로 일반의약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의사의 지시에 따라 사용해야합니다.일반적으로 전문의약품이 효능효과가 더 좋지만 그만큼 독성의 위험도 크기 때문에 무조건 전문의약품이 좋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한 나라에서 일반의약품인 것이 다른 나라에서 전문의약품이 될 수도 있고, 그 반대도 성립합니다. 예를 들어 알벤다졸과 플루벤다졸 성분 구충제는 한국에서는 일반의약품으로 처방전 없이 구할 수 있지만 호주, 캐나다, 영국에서는 전문의약품으로 처방전이 필요합니다.
Q. 알약을 먹을 때 우유나 주스랑 먹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우리가 먹는 약은 개발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마시는 물에 대해서 약성분이 어느정도 방출되는지 시험을 한 뒤 제품화를 시킵니자. 따라서 복용하는 약은 충분한 물과 함께 드시는것을 권장드립니다.우유는 칼슘, 철분, 락트산(Latic acid)이 약물의 흡수를 방해하기 때문에 같이 복용하는걸 권장하지 않습니다. 특히 항생제중에 테트라싸이클린계, 퀴놀론계열은 우유의 칼슘과 철분이 체내 흡수를 방해해 약효가 떨어지게 합니다.주스도 물과 다른 pH를 갖고있기 때문에 약물 체내흡수에 영향이 있게됩니다. 특히 자몽쥬스는 체내 'CYP3A4'라는 약물 분해효소를 억제해 혈중약물농도를 높여 특정약과 복용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물을 아주 조금만 마시는건 가장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물없이 약을 삼켰다가 식도에서 약물을 둘러싼 캡슐이 녹으면서 갑작스러운 알레르기 반응이 생기면 기도가 부어서 처치가 안될 시 숨을 못쉬어 생명이 위험할 수 있습니다.
Q. 제일 효과가 좋은 금연 치료제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금연치료는 다음과 같이 나눠집니다.(1) 비약물치료 : 혐오요법, 집단치료, 최면, 니코틴 대체치료(patch, 껌, nasal spray, 흡입제)(2) 약물치료: ①챔픽스정(Varenicline) : 니코틴에 길항하여 담배 맛을 줄이고 부분적으로 도파민을 분비시켜 금 단 증상을 줄임 ② 항우울제 : Bupropion(간질환자에게는 금기), nortriptyline, fluoxetine ③ Clonidine : 자율신경계 금단증상 완화이 중에서 어느 하나를 하는 것보다는 비약물 약물병용치료를 하는것이 좋습니다.보통은 챔픽스와 니코틴, 혹은 부프로피온과 병용하는 것이 단독으로 하는것보다 금연성공률이 우월한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금연의지가 있으시니 근처 병원에서 금연상담 받으시고 처방전 지참후 약국에 방문하시면 됩니다.
Q. 먹다남은 타이레놀 먹어도 될까요? 타이레놀도 유통기한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한국병원약사회 '의료기관 내 개봉 의약품 관리 지침'에 따르면 경구용 약의 경우, 병에 많이 든 알약은 1년, 다량이 든 시럽 병은 6개월, 나눠 담긴 시럽 병은 1개월, 가루약은 제조한 날부터 6개월, 연고제도 6개월을 개봉 후 사용가능기간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처방받은 타이레놀이1. 한번이라도 개봉된 약통에 들어있으면 조제일로부터 1년2. 포장된 상태로 존재한다면 조제일로부터 60일(출처: 미국약전)3.PTP상태로 받았으면 약품 포장겉면의 유효기간에 따르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