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준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영 전문가입니다.
김준영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아이가 야채를 너무 싫어하네요 ㅠ 어떻게 먹여야힐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대부분 야채를 안 먹는 경우, 육류 등 고기만을 섭취해서 그렇습니다.단번에 육류를 끊어내고 야채를 급여하는 것은 더 반발력이 심할 수 있습니다.가장 좋은 방법은, 고기 음식 안에 야채를 같이 섞어서 급여하는 것이죠.
놀이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동네 아이들이 제 아이에게 안아달라고하는데 괜찮은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악의적인 의도를 가지고 위 연령의 아이들이 행동을 하는 것은 아닌것으로 보입니다.다만, 질문자님의 아이가 너무 어리고 귀여워서 하는 행동으로 보이는데요. ^^;조금 불편하다면, 보호자님께서 거절의 뉘앙스를 풍기는 것도 괜찮겠습니다.
놀이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아이가 밥 보다 간식만 찾아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안쓰럽다고 하셔서, 거절하지 못하고 계속 간식을 주게되면그 증상응ㄴ 점차 심해질 것입니다.밥을 안 먹고 간식만 찾게 되겠지요.간식을 이용하셔서 밥을 먹도록 해 보시는 방법을 강구하세요.밥을 잘 먹었을때, 올바른 행동을 했을 때 등등보상의 의미로 간식을 주는 것입니다.
양육·훈육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아이의 성장이 또래에 비해 더딥니다 성장에 좋은게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가장 보편 적인 방법은, 잘 먹는 것입니다.그 중에서도 단백질/ 칼슘이 성장에 가장 최우선 요소로써,그에 맞는 식단을 통해 섭취할 수 있도록 해 주세요.운동까지 곁 들이셔야 합니다. 아이들의 성장판을 자극할 수있는적절한 운동을 찾아보셔야 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5개월 아기는 보통 통잠을 못자나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의 경우, 성인보다 얕은 잠을 자게 되며밤에 계속해서 자다 깨다 하는 것이 정상적입니다.아이가 깼을 때 다시 편하게 잠들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놀이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9세 여아랑 같이 할수있는 운동은 뭐가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배드민턴, 줄넘기, 공 놀이, 피구 등등 아이가 좋아하는 야외 활동이 어떤 게 있는지 먼저 물어보세요. ^^
양육·훈육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잘난 자식과 못난 자식을 같이 키울때 부모의 행동은?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둘 이상의 아이를 양육하고 계실 때, 가장 조심하셔야 할 것이부모의 중립적인 태도입니다.어릴 적부터 아이들은 차별적인 태도를 느낄 수 있게 되며,편애하게 된다면 다른 아이는 이를 쉽게 인식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한답니다.
양육·훈육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6세 남자 아이인데요 머리감는것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혹시, 잘못된 머리 감기 방법으로 아이가 힘들어 하는 것은 아닌지요 ?아이가 머리 감을 때 마다 불편함을 느껴서 싫어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눈에 자꾸 물이 들어가거나, 샴푸가 들어가거나, 또는 귀 안에 들어가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조심해서 머리를 감겨줄 수 있도록 하시고,머리 감을 때 아이가 좋아하는 인형/ 장난감을 꼬옥 안고 있게 해 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유아교육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아이가 또래에 비해 많이 늦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들의 경우 성장속도가 천차만별 입니다.질문자님의 아이가 발달 장애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또래 아동에 비해 어느정도 차이가 있는 것인지 모르겠으나,점차 성장하면서 나중에는 결국 비슷해 집니다.그렇다고 너무 안일하게 방치하지는 마시고, 아이가 조금이라도 더 습득에 도움될 수 있도록보호자가 옆에서 도와주셔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6살 아이가 어린이집을 안가려해요. 어떻게 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에게서 떨어지지 않고 너무 잘 해주고 있는 것은 아닌가요 ? ^^;어느정도의 훈육을 함께 병행하시면서 교육에 임해주시길 바랍니다.아이가 좋아하는 간식이나 장난감, 놀이 같은게 있으면어린이집에 다녀오면 보상의 의미로 제공해 주도록 하세요.
131
132
133
134
1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