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준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영 전문가입니다.
김준영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놀이
2022년 12월 9일 작성 됨
Q.
아이가 스킨텍이 있습니다 (만5세) 언제 떼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가급적 빨리 떼어내는 것이 아이에게도 좋을 것이며,대체적으로 어린 시기에 수술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현 만 5세라면 수술을 하셔도 괜찮을 것으로 보이며 간단한 수술이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된답니다.
놀이
2022년 12월 9일 작성 됨
Q.
아이들의 재능 발견을 어떻게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기관에 가셔서 여러가지 테스트를 해 보는 방법이 있을 것이며,그 외에는 직접 해 보는 수 밖에 없습니다.미술, 음악, 체육, 공부 등 여러가지 분야에 대해 아이에게 시켜보도록 하세요.
양육·훈육
2022년 12월 9일 작성 됨
Q.
첫째 아이가 둘째에게 너무 질투심을 가지는것 같은데요 어떻게 부모가 행동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직 아이들이 많이 어려 질투심을 느끼는 것입니다.시간이 지나면서 괜찮아 질 것이며, 이때 주의할 점은둘째 아이만 너무 이뻐하고 챙기다 보면 아이들의 질투심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첫째 아이에게도 많은 관심을 가져주시기 바랍니다. ^^
양육·훈육
2022년 12월 9일 작성 됨
Q.
중3 딸아이의 성교육은 어떻게 시켜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가 성 정체성을 가지고 한창 성적 호기심이 활발한 나이로 보여집니다.이럴 때, 올바른 성 지식을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답니다.보호자께서 알려주는 것이 쉽지 않다면, 성 교육 도서 책을 함께 읽는 방법이 좋습니다.책 읽는 것이 다소 부담스럽다면 영상 매체를 통한 교육이 수월할 것이구요. ^^
양육·훈육
2022년 12월 9일 작성 됨
Q.
4살여아 잘때 이불 물고자는 버릇? 애착이불 이대로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직 4세 여아에게는 애착 인형과 같이 이불이 중요하게 여겨질 수 있습니다.가급적, 자주 빨래하셔서 아이 위생에 위험이 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양육·훈육
2022년 12월 9일 작성 됨
Q.
너무 산만할 정도로 말도 많고 소리질러대고 미안한 줄도 모를때 대처방안은?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에게 무조건 소리지르고, 안돼! 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교육 방법입니다..아이가 떼 쓰고 잘못된 행동을 할 때에는 아이와 둘만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세요.그리고, 아이가 보호자에게 집중할 수 있도록 환기시킨 다음부드러운 어조를 사용하되 단호하게 아이의 눈 높이에 맞춰 잘못된 행동을 인지시켜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2년 12월 9일 작성 됨
Q.
17개월 아이가 영양제를 안먹어요ㅠㅠ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의 수면 패턴은 괜찮은 편인가요?또 밤에 푹 자려면, 아이의 낮잠 시간을 조절할 필요가 있습니다.낮잠을 조절하셔서 밤 잠에 일찍 들도록 해 주시고, 영양제는 처음엔 소량 급여하는 것이 좋아요.한 번에 다 먹이려고 하면 아이는 섭취가 부담스러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양육·훈육
2022년 12월 9일 작성 됨
Q.
아기들 겨울철 습도관리 방법중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뜨거운 물을 받아주는 것이 좋으며, 컵 하나 가지고 방 한칸의 습도를 대폭 올려주기엔 쉽지 않습니다.가급적 가습기 사용과 병행하는 것이 좋으며, 대체할만한 것이 젖은 빨래를 여기저기 널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2년 12월 9일 작성 됨
Q.
17개월 아기가 갑자기 너무 잘자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들이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은 아이에게 긍정적인 일이랍니다.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으로 보여요. ^^모기와 아이 수면 시간은 연관성이 크게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양육·훈육
2022년 12월 9일 작성 됨
Q.
아이가 수시로 자신의 머리를 박치기 해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의 어떤 강박적인 행동으로 보여집니다.보호자께서 아이를 타이르고, 행동 교정을 해 보시되 스스로 해결하기 어렵다면 가급적 빠른 시기에 아이 발달센터에 방문하셔서상담받아 보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66
67
68
69
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