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개월 전 작성 됨
Q.
번개탄 일상화탄소 중독 질문드려용!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상온에 존재하는 산소의 농도가 21% 정도인데 번개탄을 밀폐된 곳에서 사용할 경우 산소의 농도가 줄어들고 일산화탄소가 인체내부로 들어가게 됩니다단순히 산소부족뿐 아니라 일산화탄소는 채내에 들어가게 되면 산소보다 혈액 중 산소를 운반하는 헤모글로빈과 결합하는 능력이 산소보다 백배이상 높기 때문에 산소가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지 못하게 방해하여 채내에 산소가 부족하게 되어 사망하게 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2개월 전 작성 됨
Q.
맹그로브가 탄소저장을 어떻게 높이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맹그로브 나무가 다른 나무들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고 바닷물에서도 생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기중의 이산화탄소 흡수율이 높습니다.주로 바닷가 근처에서 생존을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육상으로 잘 자라는 만큼 해수면 아래로 뿌리도 크고 넓게 분포하게 됩니다. 이러한 뿌리 사이로 육상에서 흡수한 탄소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탄소포집 효율이 높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2개월 전 작성 됨
Q.
우리나라에서 대구가 제일 더운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지형이 분지 형태 이기 때문입니다.근처의 울산이나 부산처럼 근처에 바다가 있다면 바다의 비열때문에 여름에 물이 열을 받아주어 온도가 천천히 오르게 되는데 대구의 경우는 주변에 바다가 없고 전부 육지이기 때문입니다.또한 평지가 아니라 산지로 둘러 쌓인 분지 형태라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내부로 뭉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소위 찜통과 같은 더위가 발생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2개월 전 작성 됨
Q.
HDPE를 재활용할수 있다고 하는데 원리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닞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HDPE 뿐 아니라 PET 가 재활용률이 가장 높습니다. 투명한 페트병을 따로 모이는 것을 알고 계실거라 생각합니다. PET 다음으로 재활용률이 높은 재료가 HDPE 입니다. HDPE 는 전자레인지 사용이 가능한 플라스틱 재료인데 다른 플라스틱보다 내열성이 높아 전자레인지를 사용해도 쉽게 변형되지 않고 화학약품에도 강합니다.그래서 쉽게 변형되지 않는 특성을 이용해서 재활용도 가능한데 사용한 HDPE 를 세축 후 파쇄하여 녹이게 되면 다시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2개월 전 작성 됨
Q.
우리나라의 사계절이 희미해진 것 같은데, 학계에서는 어떻게 생각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맞습니다. 4계절이 존재하는 것은 맞으나 과거처럼 4계절의 기간이 달라졌습니다.여름과 겨울의 사이에 있는 봄과 가을의 기간이 짧아지고 여름과 겨울을 기간이 실제로 길어졌습니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겨울에 따뜻해 지긴 했으나 최저 기온은 더욱 낮아지고 일교차가 체감될 정도로 커졌 습니다. 그래서 봄에 피는 꽃의 개화시기가 앞당겨 졌습니다.시간이 지나면 정말로 아열대 지방처럼 기후 구분이 4계절이 아닌 2계절처럼 선명해질 수 도 있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61
62
63
64
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