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김채원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안녕하세요 야생호랑이는 세계적으로 얼마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전세계적으로 약 4000~6000마리 정도 생존하고있다고합니다.그중 인도에만 약 3600~3700마리의 야생호랑이들이 존재하고있습니다.
생물·생명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이 식물의 이름은 뭔지요? 해수욕장에서 부유물로 발견했어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사진에 보이는 것은 마디가 뚜렷하게 구분되고 속이 빈 줄기로보입니다.조릿대일 수 도있지만, 벼과 식물의 줄기조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바닷가근처이기때문에 갈대류일수있습니다.
생물·생명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생물계는 왜 소금을 필수자원으로 활용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소금의 주요 성분인 나트륨과 염소이온은 세포막의 전위 형성, 신경자극전달, 삼투압 조절 등 생명유지에 핵심적이기 때문입니다. 또 초기 생명은 염분이 풍부한 바다에서 기원했기때문에, 생화학적으로 시스템이 자연스럽게 소금을 기반으로 진화해서 필수자원이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고양이과 동물이 왜 단맛을 못느끼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고양이과동물은 단맛 수용체유전자 (TAS1R2)가 돌연변이로 기능을 잃어서 포도당, 과당을 인식하지 못합니다. 이는 순수한 육식동물로 진화하면서 당 섭취가 거의 없어지며, 단맛감지가 생존에 불필요해졌기때문입니다.
생물·생명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펭귀은 두가지맛만 느낀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펭귄은 유전자 소실로인해서 단맛, 감칠맛, 쓴맛 수용체가 퇴화하고, 짠맛과 신맛만 느낄 수 있다고합니다.빙하 환경에서 낮은 체온이 맛 수용체 단백질의 기능을 제한하고, 먹이가 주로 생선, 해산물이라 다른미각이 진화적으로 불필요해서 퇴회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가을철에 단풍이 형성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가을이되면 낮길이가 짧아지고 기온이 저하되면서 엽록소 분해가 촉진되고, 녹색이 사라집니다.이 과정에서 잎속에 원래 존재하던 카로티노이드나 새로합성된느 안토시아닌 색소가 드러나 단풍이 형성됩니다.
생물·생명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평균 기온의 차이를 조사하려고 하는데 통계 관련 질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2024년과 25년 7월 평균기온만 비교하면 독립표본 t-test로 두 집단간 평균차이의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2020~2024년 연간 평균 기온처럼 3개이상 집단간차이를 보려면 일원분산분석이 적절합니다. 아노바 분석이라고도합니다.
생물·생명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모기들은 왜 풀이 많은 곳에 많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모기는 풀숲이 습도유지와 은신처 제공에 유리하기때문에 체온, 수분손실을 막고 천적으로부터 숨을 수 있습니다.또한 풀 주변에는 작은 웅덩이, 그늘 동물서식처가 많아 산란지와 흡혈기회가 집중되기때문에 밀도가 높게 나타납니다.
생물·생명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백야와 극야가 반복되는 지역들에서 왜 자살률이 그렇게 높은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백야와 극야가 반복되면 이조주기의 극단적인 불균형이 발생하며 생체리듬, 호르몬 조절장애들이 생깁니다. 여기에 사회적인 고립, 기후 스트레스, 음주율, 우울증 유병률이 상승하며 자살률이 세계적으로 높게나타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극야현상때보다 백야현상때 왜 자살율이 확 증가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극야에는 멜라토닌 분비 불균형으로 우울증이 늘어나지만, 활동자체가 줄어 자살행동으로 이어지는 빈도는 낮습니다. 반면, 백야에는 과도한 빛 노출로 불면, 충동성이 증가하여 에너지와 실행력이 결합되며 실제 자살률이 높아집니다.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