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김채원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10월 16일 작성 됨
Q.
펭귄은 왜 북극에는 없고 남극에만 살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남극은 북극과다르게 대륙위에 눈이 쌓여져있는 경우이고 해안가의경우 눈이나 얼음이없어도 대지가드러나며 안정적인 서식지 정착생활이 가능합니다.알을낳고 한장소에서 수개월간 머물러야하는 펭귄은 안정적인 서식지가필요하고 남극대륙에서 살아가는것이 더 적합하다고합니다.반면 북극에는 대륙이없어 서식지가 계속 이동하고 후대가 다시돌아와 같은서식지에서 번식을 반복하는 행위가 불편하기때문에 펭귄서식특성상 살기 어렵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16일 작성 됨
Q.
뇌가없는 해파리는 뇌를 대체하는 기관이 따로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해파리는 뇌라는 기관이 따로있지는않고 신경망이라고하는 특수한 신경구조를 갖고있어 외부자극에대한 움직임을 만들어냅니다.판단이나 생각은 하지못하고 반사작용만으로 살아간다고볼수있습니다.대신 이 신경망이 온몸에 퍼져있기때문에 반사적으로 반응이 전신에 즉각적으로 일어날수있기도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15일 작성 됨
Q.
벌통속 벌집은 왜 육각형의 모양으로 만들어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자연이나 인간이 만든구조물중 가장 안정적인 구조는 삼각형으로 트러스구조 라고도합니다.하지만 벌집의경우 집안에 유충이나 먹이를 담아두는 공간으로 활용해야하기때문에 삼각형보다는 삼각형 여섯개가 모여있는 육각의 형태가 안정적입니다.또한 육각형은 거의 원형에가까워 내부공간을 활용하기좋고 집을 구성했을때 빈칸이 거의없는 모습을 볼수있어 공간효율성이 극대화되는 구조이기도합니다.그래서 벌들은 육각형의 집을짓고 내부를 채워나가며 크기를 넓혀가면서 생활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15일 작성 됨
Q.
비둘기도 지렁이를 먹을수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비둘기도 단백질섭취를위해서 곤충들을 잡아먹기도합니다. 하지만 거의 곡류나 씨앗을먹는 초식성동물에 가깝습니다.특히 새끼들은 단백질섭취가 중요하기때문에 어미가 새끼에게 곤충이나 지렁이나 달팽이같은 무척추동물을 먹이로 전달해주기도합니다.그래서 간혹 비둘기들도 입에 곤충이나 다른 먹이들을 물고있는 모습을 볼수도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15일 작성 됨
Q.
생물의 한 종이 멸종을 하는것에 민감한 이유를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최근 다양한생물종들이 급격하게 멸종하는일이 벌어지고있습니다.이러한 현상은 지구에 존재하는 생명체들의 종의다양성이 매우떨어지는 현상이기때문에 지구전체적인 측면에서는 좋지않은현상입니다.왜냐하면 종의다양성이 줄어들면 지구환경변화가 일어날때마다 종이 더 빠르게감소하며 지구에 남은 생명체가 앞으로 멸종되지않고 살아갈수있는 확률이 급격하게 감소하기때문입니다.즉, 종의다양성을 지키기위해서 하나의 종이라도 민감하게 반응하며 지키려고하는것입니다.
346
347
348
349
3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