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김채원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5년 1월 16일 작성 됨
Q.
사람이 진화하는과정에서..뇌가커진이유가 잘먹어서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사람이 진화하면서 뇌가커진이유는영양공급과 음식조리방법이 발달한것에의한 영향도 있다고합니다.먼저 불을 사용해 음식을 익혀먹으며 소화에대한 부담을 줄이고더 많은 영양분 흡수가 가능했다고합니다.에너지 소비가 매우많은 뇌는 섭취하는 칼로리가 많아지면서더 크게 발달할수있었던것이죠또한 조리기술과 더불어 사냥의 발전으로 고단백의 음식과고지방의 음식 섭취가 가능해진것도 도움을 주었다고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1월 16일 작성 됨
Q.
동물 중에서 지능이 인간과 비슷한 종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인간과 지능이 비슷한 동물은 없습니다.인간처럼 고도의 지능을 보이기는하는 영장류들이 존재하긴합니다.침팬지나 보노보 오랑우탄 고릴라 등은나뭇가지를 활용해 개미를 잡거나 열매를 따는등간단한 도구를 이용하기도하고사회를 만들어 위계구조를 형성하고서로 협력하고 갈등해결을 하는 꽤 복잡한 상호작용을 한다고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1월 16일 작성 됨
Q.
인체에서 손톱발톱은 어떻게 딱딱하게 자라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손톱봐발톰은 케라틴이라고하는 단단한 단백질층이쌓이면서 만들어집니다.손톱발톱쭈리에서 세포분열이 일어나고 이 세포들이케라틴화과정을 거치면서 딱딱한물질로 변합니다.이 케라틴단백질은 구조적으로 단단히 결합되어있고얽혀있기때문에 실제로도 단단한 구조가 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5년 1월 16일 작성 됨
Q.
곤충의 사회적 구조는 왜 특정 종에서만 복잡하게 발달 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개미나 꿀벌등이 사회적구조를 복잡하게 발달시킨 이유는오랜 자연선택과 환경적응이 일어나며 만들어졌습니다.먼저 한정된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애하는곳에서체계적인 사회를 이루어야만 종 전체가 살아남을 수 있었습니다.또한 단독으포 포식자와 대항하기 쉽지않은경우에서도 발달해왔습니다.이런 환경에서 작업을 분업하고 번식력을 높이며포식자와의 대항능력을 증대시키며 성공적으로 생존하게 된것이죠
생물·생명
2025년 1월 16일 작성 됨
Q.
개구리 중에 일부 개구리는 왜 색이 밝거나 독특한 패턴을 가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개구리가 갖는 밝은색이나 독특한 패턴을 갖는것은 위장과 보호의 역할을합니다.이런 독특한 패턴은 나를 먹지말라는 신호로 작용하는데,화려한색은 불쾌한 맛을 가지거나 독을 가진것으로 인식되기때문입니다.포식자가 밝은색의 동물을먹고 좋지않은 경험을하게되면이후 같은색을 가진동물을 먹지않고 피하는 경향이생깁니다.즉, 종 전체의 생존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5년 1월 16일 작성 됨
Q.
미래의 언젠가 인간의 수명이 무한대인 시점이 올까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수명이 무한이되기위해서는 노화마저 정복해야합니다.물론 인공장기의 발전과 장기이식을 위한 유전자조작 생물의 규제완화 등이 일어난다면 신체부위를 대체하는방식으로 수명을 대폭 늘리는 방법이 있을수는 있겠습니다. 이는 윤리적으로, 사회적으로 합의가 이루어져야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1월 16일 작성 됨
Q.
자신의 자아를 잃어버리는 질병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가장 잘 알려진것으로는 알츠하이머나 치매와같은 노인성 뇌질환입니다. 이외에도 해리성 정체감 장애, 정신분열, 우울증, 기억상실, 전두엽손상과같은 직접적인 뇌손상이 원인이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5년 1월 16일 작성 됨
Q.
바닷가에 자라는 나무들은 소금기가 더 많은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바닷가주변의 토양들에는 염분이 존재하는경우도있고, 주변지하수에도 염분이 침투해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다만 많은양은아니고 식물들이 살아갈정도로 적은농도의 염분만 존재합니다.기본적으로 삼투압을 이용해 양분과 수분을 흡수해야하기때문입니다.
생물·생명
2025년 1월 16일 작성 됨
Q.
현재 우리나라의 스마트팜 현황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현재 스마트팜은 ai를 활용하고 로봇들도 대거투입되면서 체계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운영되고있습니다.특히 네덜란드의 유명한 스마트팜의 기업은 농장주가 농장에가지않아도 될만큼 자동재배시스템이 구축되어있다고합니다.특히 실내 자동재배기술이 발전하며 사시사철 비슷한품질의 농작물을 얻을수있다는장점도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5년 1월 16일 작성 됨
Q.
어떤 식물은 왜 특정 곤충이랑만 공생 관계를 맺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식물과 곤충이 공생관계를 맺는경우는 대부분 꽃의 수분을도울때 맺습니다. 꿀벌은 많은 종류의 꽃들과 공생관계를 맺고있어 반드시 일대일로 공생관계를 맺는다고는 볼수는없습니다.
71
72
73
74
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