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철승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전문가입니다.
김철승 전문가
LG전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4년 4월 1일 작성 됨
Q.
빛은 왜 모이면 흰색이 되고, 색은 검정색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빛과 물감의 색상 혼합에서 나타나는 차이는 색상이 혼합되는 방식과 관련이 있습니다 빛의 색상은 가산 혼합이라는 방식을 따릅니다 이는 여러 색의 빛이 합쳐져 더 밝은 색을 만드는 원리입니다 가산 혼합에서 적색 녹색 청색인 빛의 삼원색이 합쳐지면 흰색 빛이 됩니다 물감의 색상 혼합은 감산 혼합이라는 원리에 따릅니다 이는 물감이 빛을 흡수하고 반사하는 방식 때문입니다 물감의 삼원색은 시안 마젠타 노랑으로 각각 다른 빛의 파장을 흡수합니다 모든 색상이 혼합되면 빛의 대부분을 흡수하게 되어 검정색이 나타납니다 즉 빛의 색은 혼합되어 밝아지는 반면 물감은 혼합되어 어두워지는 원리입니다 바로 이 차이 때문에 빛과 물감의 삼원색이 모두 합쳐질 때 서로 다른 결과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물리
2024년 4월 1일 작성 됨
Q.
반발계수란 무엇이고 어떻게 측정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반발계수는 충돌하는 두 물체의우발적인 탄성 충돌에서 최종과초기 속도의 비율로 정의됩니다이 계수는 접촉하는 물체의재질 및 상태에 따라 0에서 1 사이의값을 가지며 탄성 충돌에서는 1에가까울수록 완전한 충돌을 나타냅니다접촉하는 물체끼리의 탄성을나타내며 충돌 전후의 운동 에너지의보존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반발계수를 측정하려면 물체가파트너와 충돌하기 전후의 속도를측정해야 합니다식으로 표현하면 속도의 변화량을상대속도 즉 충돌 전후의 관찰된물체들의 속도차로 나눈 값입니다모든 물체의 반발계수가 동일하게나타나지는 않습니다재질 표면 상태 충돌 속도와 같이여러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반발계수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조건에는 물체의 재질이 있습니다물체가 얼마나 탄력적이고 변형이쉬운지에 따라 반발계수가 결정됩니다예를 들어 고무와 같이 융통성이있는 재료는 보통 높은 반발계수를 가집니다충돌하는 물체의 표면 거칠기나온도 또한 반발계수에 영향을 미칩니다충돌 속도 또한 반발계수에 영향을줄 수 있는데 특히 높은 속도에서는재료가 다르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즉 충돌하는 물체의 상태와물리적 조건이 반발계수의 결과에중요한 역할을 합니다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부탁드립니다
물리
2024년 4월 1일 작성 됨
Q.
복사에너지,대류에너지의 차이점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복사 에너지는 에너지가입자나 파동의 형태로전달되는 과정을 일컫습니다태양 복사 에너지는가시광선 적외선 자외선을 포함한전자기 스펙트럼 전 범위에서방출되는 에너지입니다이러한 에너지는 광자라는입자의 형태로 우주 공간을지나 지구에 도달합니다대류 에너지는 열 혹은 에너지가유체의 움직임을 통해전달되는 열 전달 방식입니다특히 대기나 수체 같은 유체에서뜨거운 부분이 상승하고차가운 부분이 하강하면서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을 말합니다복사와 대류의 주요 차이는전달 매체의 필요 여부에 있습니다복사 에너지는 매체 없이도공간을 통해 전달될 수 있지만대류는 매체가 필요한과정입니다따라서 태양 에너지는공기나 다른 매체 없이도 지구로전달될 수 있는 반면대류는 매체 내에서의 유체동역학에 의존합니다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4월 1일 작성 됨
Q.
노벨의학상에 대한 글쓰기 프로젝트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바버라 맥클린톡은 1983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습니다그녀는 유전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인정받았는데 특히 유전자의 이동성을 발견한 업적으로 유명합니다이것은 유전자가 염색체 내에서 위치를 바꿀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그 당시에는 상당히 혁신적인 개념이었습니다그녀의 발견은 유전학의 기존 이론과 달랐기 때문에 처음에는 많은 비판을 받았습니다이러한 이동성 유전자는 '점프하는 유전자' 또는 트랜스포종이라고 불리며 유전자 변이나 유전자 조절과 같은 현상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그러나 당시 많은 과학자들은 유전자가 고정된 위치에서만 활동한다고 믿었기 때문에 맥클린톡의 이론에 회의적이었습니다이후 연구를 통해 이동성 유전자가 실제로 존재하고 중요한 기능을 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습니다반박하는 글을 쓴다면 당시 맥클린톡의 이론에 대한 회의적인 관점을 살펴보고 왜 그녀의 발견이 처음에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는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비판적인 시각에서 당시의 대안적 유전학 이론과 그녀의 이론을 비교하며 과학적 논쟁을 재현해 볼 수도 있습니다자신의 생각을 쓸 때는 유전학적 발견이 과학계에 받아들여지기까지의 이론적 그리고 사회적 장벽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이렇게 글을 마무리하면서 과학 발견이 시간이 지나며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의 과정을 돌아볼 수 있습니다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생물·생명
2024년 4월 1일 작성 됨
Q.
동물중에서 사람의 넙다리뼈의 강도와 가장 밀접한 동물의 뼈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인간의 넙다리뼈는 크고구조적으로 견고한 대표적인뼈입니다구조적 강도와 비교할 때대형 포유류의 뼈가 인간의넙다리뼈와 유사할 수있습니다대형 포유류 중에서도 소의대퇴골은 널리 이용되며구하기도 상대적으로 쉽습니다소의 대퇴골은 크기와강도 면에서 인간의대퇴골과 유사한 특성을보여줍니다실험적 연구나 교육용도로 소의 대퇴골을 사용하는경우가 많습니다이는 인간의 뼈와 비교하여생체역학적 특성을 이해하기에 충분한 유사성을 지니기때문입니다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116
117
118
119
1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