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철승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전문가입니다.
김철승 전문가
LG전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4년 3월 29일 작성 됨
Q.
자동차 배기구에서 물이 나오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자동차의 배기관에서 물이 나오는 현상은 내연기관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연료 연소시 가장 기본적인 화학 반응은 탄소가 산소와 결합하여 이산화탄소를 형성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연료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수소도 산소와 반응하여 물을 생성합니다 이러한 반응은 다음과 같은 화학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2H2+ O2 -> 2H2O 엔진이 충분히 가열되지 않았거나 외부 온도가 낮은 경우배기 시스템이 뜨거워지기 전에 수증기가 응축되어 물방울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형성된 물은 배기관을 통해 밖으로 배출되며 이는 정상적인 현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차량이 처음 시동될 때 배기파이프에서 이런 현상을 관찰하기 쉽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3월 29일 작성 됨
Q.
얼음이 혓바닥에 붙어버리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혀에 얼음이 달라붙는 현상은 혀와 얼음 사이의 온도 차이 때문에 발생합니다혀는 덥고 습해 혈액 공급도 풍부합니다이로 인해 혀의 표면은 얼음에 닿는 즉시 얼음을 녹입니다얼음 주변의 물은 혀에 달라붙으면서 바로 다시 얼어서 얼음과 혀를 연결합니다이 과정에서 물이 얼면서 발생하는 부피 팽창으로 인해 혀가 얼음에 잠시 붙게 됩니다손은 혀보다 표면 온도가 낮고 혈액 순환이 혀만큼 활발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덜 붙습니다손의 피부에는 땀과 기름으로 형성된 보호막이 있어 얼음이 직접적으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합니다혀는 상대적으로 젖어 있고 노출된 점막이어서 얼음이 바로 달라붙기 더 쉬운 것입니다따라서 혀에 얼음을 대는 행동은 혀가 얼음에 붙어 상처를 입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3월 29일 작성 됨
Q.
흑체에서 방출되는 열복사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흑체는 모든 입사하는 복사 에너지를흡수하고 어떤 것도 반사하지 않는이상적인 물리적 몸체를 말합니다흑체에서 방출되는 열복사는흑체의 온도에 의존하는특정한 스펙트럼을 가지며이 스펙트럼은 플랑크의복사 법칙에 의해 결정됩니다우주 배경복사는 빅뱅 이론에서예측한 대로 흑체복사의 형태로방출되고 있는데그것은 우주의 초기 상태였던뜨거운 밀집 상태로부터 나온복사 잔여물입니다이 우주 배경복사는 대략2.7K(-270.45°C)의 극히 낮은온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이것이 전 우주에 걸쳐매우 균일하게 분포하는 것은빅뱅 이론의 중요한 증거 중하나로 여겨집니다과학자들은 우주 배경복사를 분석하여우주의 구조 연령 팽창 속도와다른 중요한 특성들에 대한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3월 29일 작성 됨
Q.
지금의 빛은 빅뱅때 만들어진 빛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가 태어난 이후 초기에는 모든 물질이너무 뜨거워서 전자와 핵이 결합할 수 없는플라즈마 상태였습니다빛은 이 플라즈마 속에서 자유롭게이동할 수 없었고 이를 우주의 어둠 시기라고합니다우주가 팽창하면서 서서히 식게 되고약 37만 년 후 물질이 충분히 차가워져서전자와 핵이 결합하여 중성 원자를 형성하기시작했습니다이때부터 빛이 자유롭게 우주를가로지를 수 있게 되었으며 이렇게생성된 첫 번째 빛을 우리는 우주배경복사라고부릅니다하지만 빛은 계속해서 새롭게생성되고 있습니다별이나 은하와 같은 천체들은 핵융합과다른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빛을방출하고 있습니다이것들은 우주 공간으로 퍼져 나가며우리가 별빛이나 은하빛으로 관측하는빛의 일부가 됩니다따라서 우주 초기에 생겨난 빛 외에도별이 태어날 때부터 죽을 때까지 지속적으로새로운 빛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부탁드립니다
전기·전자
2024년 3월 29일 작성 됨
Q.
사람이 소음이라고 느끼는 볼륨은?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소음이라고 느껴지는 소리의 크기는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70데시벨(dB) 이상부터불쾌감을 주는 수준으로 여겨집니다이 수준의 소음은 일상 생활에서 종종 경험할 수있습니다 예를 들면 진공 청소기가 70dB 주변에서소음을 발생시키며 이는 일반적인 가정에서 흔히듣는 소리입니다거리의 교통 소음도 약 70dB에서 85dB 정도에이르며 이는 거주 지역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건설 현장에서의 망치질이나 드릴 사용은약 90dB에서 100dB 범위의 소음을 낼 수 있어귀에 해롭고 매우 성가신 소음으로 분류됩니다바로 옆에서 듣는 무거운 도로 교통의 차량 소리나지하철의 소리는 90dB을 넘어서며 이는 지속적으로노출될 경우 청력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따라서 이렇게 높은 데시벨의 소리에 장기간노출되는 것을 피해야 하며 특히 근로 환경에서는귀마개와 같은 보호 장비의 사용이 권장됩니다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부탁드립니다
281
282
283
284
2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