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철승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전문가입니다.

김철승 전문가
LG전자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연필로 물 넣은 지퍼백을 뚫으면?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연필로 지퍼백에 담긴 물을 관통시켰을 때 물이 새지 않는 현상은 지퍼백을 만든 플라스틱 소재의 유연성과 연필 주변을 둘러싸는 물의 표면 장력 때문입니다지퍼백 플라스틱은 유연해서 연필이 관통할 때 크게 찢어지지 않고 연필 주위를 탄력적으로 감싸며 밀착합니다또한 물의 표면 장력은 연필 주변에서 물 분자들이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강해 지퍼백의 작은 구멍 주변으로 물이 흐르지 않게 해줍니다이 두 가지 특성이 결합하여 연필을 관통한 부분으로 물이 새어 나가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즉 플라스틱과 물의 특성이 서로 협력하여 관통한 연필을 빈틈없이 막기 때문에 물이 새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추운 겨울 눈 결정 모양으로 창문에 생기는 원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추운 겨울철에 자동차나 집 창문에 서리가 결정 모양으로 생기는 현상은 대기 중의 물기가 직접 얼어붙는 과정인 '승화' 때문입니다추운 날씨에 공기 중에 떠도는 수증기가 창문과 같이 냉각된 표면에 닿으면 물방울 형성을 거치지 않고 바로 고체 상태인 얼음 결정으로 변합니다이때 공기 중의 미세한 먼지나 불순물들이 서리 결정이 형성되는 '핵' 역할을 해주며 이 핵들 주위로 물분자들이 정렬되면서 독특한 모양의 서리 결정이 만들어집니다결정이 형성될 때 각 물분자들은 수소 결합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결합은 매우 정기적이어서 육각형의 대칭적인 눈 결정 형태를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이러한 현상은 마이너스 온도에서 물 분자들이 기체 상태에서 곧바로 고체 상태로 전환될 때 벌어지는 것으로 눈이 오거나 비가 오지 않더라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창문에 아름다운 서리 결정이 형성되는 것은 온도와 습도 비눗방울 그리고 미세한 먼지나 불순물 등의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멀미를 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멀미는 우리 인체의 감각 시스템사이의 충돌 때문에 발생합니다뇌는 시각 귀에서 오는 내이감각 수용기에서 오는 정보를종합하여 우리의 위치와 움직임을판단합니다정적인 상태에서 우리의 시각과균형 감각은 일치하지만 이동 중에는이 균형이 깨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차 안에서 우리의 내이는 움직임을감지하지만 눈은 움직임을 보지못할 수 있습니다이로 인해 뇌는 혼란스러운 신호를받고 균형을 잃어 멀미 증상이나타납니다 이 증상은 구토 어지럼증땀 흘림 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멀미는 대개 움직임이 멈추면사라지며 멀미를 예방하는 방법으로는차창 밖을 바라보거나 멀미약을사용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음이온 공기청정기가 있던데, 음이온의 역할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음이온은 전자를 초과해서 가지고 있는 원자 또는 분자를말하며 이들은 공기 중에서 작은 입자들에게 전자를끌어당겨 음으로 전하를 띠게 할 수 있습니다공기청정기에서 음이온 기술이 사용될 때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 꽃가루 박테리아 바이러스와 같은입자들을 중화하여 공기 중에서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줄 수있습니다 이 입자들이 음이온과 결합하면더 무거워져서 공중에 떠다니지 못하고바닥으로 가라앉게 되어 청소하기 쉬워집니다또한 음이온은 간직하고 있는 전자로 인해 화학 반응을촉진하는 능력이 있어서 공기 중의 유해 가스나 냄새를줄이는데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그러나 음이온을 이용한 청정 기술이 모든 오염물질을제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일부 연구에서는음이온이 과도하게 발생할 경우 오히려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고 합니다따라서 음이온 공기청정기를 선택할 때는제품의 안전성과 효과에 대한 검증된 정보를기반으로 신중한 판단을 해야 합니다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예전에 이우석 박사는 복제를 성공 시킨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황우석 박사는 2004년과 2005년에 인간 배아복제를 통한 줄기세포 생성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당시 그의 연구 결과는 과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으나, 이후 조사에서 연구 결과의 대부분이 조작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논문 조작과 윤리적 논란으로 인해 황우석 박사는 학계에서 추방되었고, 그의 연구는 큰 오점으로 기록되었습니다.이 사건 이후 황우석 박사는 대부분의 과학적 지위와 명성을 잃었습니다. 그럼에도 그는 동물 복제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는 보도가 있습니다. 구체적인 근황에 대해서는 공개된 최신 정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정확한 활동 상황은 알기 어렵습니다. 오랜 기간동안 그가 어떤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연구가 과학 커뮤니티에서 어떤 평가를 받고 있는지는 명확히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3263273283293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