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비오는 날에 미세먼지가 없는 이유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비가 오면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그 이유는 크게 다음과 같은 3가지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비가 내리는 동안 빗방울은 미세먼지 입자와 충돌하여 아래로 떨어뜨립니다. 이 과정을 세척 효과라고 부릅니다. 빗방울의 크기와 강수량미세먼지 입자의 크기와 농도 등에 따라 세척 효과는 달라지지만일반적으로 강수량이 10mm 이상이 되면 미세먼지 농도가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비가 오는 날에는 대기가 불안정해져 대기 순환이 활발해집니다. 이 과정에서 지표면에 쌓여 있던 미세먼지가 상층으로 이동하여 넓은 지역으로 확산되고, 빗방울에 의해 씻겨 내려가게 됩니다.비가 오면 습도가 높아지고, 이는 미세먼지 입자의 응결을 촉진합니다. 응결된 미세먼지 입자는 더 크고 무거워져 빗방울에 의해 더 쉽게 씻겨 내려가게 됩니다.모든 비가 미세먼지 감소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강수량이 적거나 빗방울이 작은 경우에는 세척 효과가 미미하여 미세먼지 감소 효과가 크지 않습니다.바람이 강한 경우에는 미세먼지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오히려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황사나 화산재와 같은 다른 오염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비가 오더라도 미세먼지 농도가 크게 감소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비가 오는 날 미세먼지가 줄어드는 이유는 빗방울에 의한 세척, 대기 정화, 습도 증가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모든 비가 미세먼지 감소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