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철승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전문가입니다.
김철승 전문가
LG전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4년 5월 2일 작성 됨
Q.
원자는 원자핵이기도 한데 전류가 흐를때 어떻게 원자가 이동하죠?
안녕하세요김철승 과학 전문가 입니다.원자핵은 가만히 있구요원자핵 주변에 있는 전자들이 안정된 전자에서 떨어져 나와서 흘러다니면 전류가 흐르는 것이예요~원자에서 벗어나서 움직이는 전자를 자유 전자라고 부르지요~원자의 주기율표를 보면 최외각 전자의 갯수별로 주기율표의 각 열별로 배치가 되어 있어요~1족 원소는 최외각 전자가 쉽게 1개 떨어져 나와서 양극을 향해서 전자가 끌려가는 것이예요~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려요~~
전기·전자
2024년 5월 2일 작성 됨
Q.
open ia들은 정보를 어디서 가지고 오나요??
안녕하세요~김철승 과학 전문가예요~open ai 회사는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을 시켜서 MODEL을 만들었어요~텍스트와 소스코드를 비롯해서 책과 뉴스와 기사 등 인터넷에서 구할 수 있는 자료와유료로 구매한 데이터베이스를 방대하게 학습을 시켰습니다.하지만, 인터넷에서 가져온 데이터는 원래 데이터의 소유자가 따로 있을 수 있어요`Coplit은 기본적으로 Open AI가 구축한 모델을 활용하므로텍스트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추론을 통하여 생성할 때 기존의 저작권이 있는 자료와 비슷한 결과물을 AI가 만들어 낼수 있어요~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려요~~
전기·전자
2024년 5월 2일 작성 됨
Q.
나이가 많이 들어도 왼손을 많이 쓰면 우뇌가 발달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김철승 과학 전문가 입니다.왼손을 사용하면 우뇌가 발달한다는 속설은 있으나실제로는 왼손을 사용하는 것은 좌뇌와 우뇌 모두를 발달시키는 효과가 있어요~나이가 들면 뇌의 집중력과 학습 능력이 낮아지게 되는데왼손을 비롯하여 운동을 해주면 뇌 전체적인 활력이 높아져서집중력과 학습 능력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어요~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려요~
전기·전자
2024년 5월 2일 작성 됨
Q.
AI가속기의 전기소모량은 어느정도나 되는지 그리고 왜이리 전기소모가 많은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김철승 인공지능 전문가예요~말씀하신 AI 가속기가 어떤 장치를 말씀하시는지 궁금하네요.통상적으로 빅데이터를 학습하는 학습부와 학습을 통해서 생성된 모델을 이용해서추론을 할때 사용하는 추론부로 나뉩니다.학습을 할때나 추론을 할때 GPU를 이용하여 다차원 배열 연산을 많이 사용해요.AI가속기가 GPU를 의미하는 것이라면 보통은 400Wh 내외의 전력을 소비하죠.엔비디아가 최근에 설계해서 출시한 모델은 1200Wh 까지 소비한다고 하네요.전기 소모량이 많은 이유는 데이터를 학습시키는 과정이나 모델을 바탕으로 추론하는 연산 자체가N차원 배열 연산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GPU 는 주로 배열 연산을 위해서 사용이 되거든요.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려요~
전기·전자
2024년 5월 2일 작성 됨
Q.
스마트 글래스라는 것이 스마트폰을 대체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김철승 과학 전문가예요~스마트 글래스는 가상이미지와 현실 이미지를 합성하여 VR이미지를 활용하여컴퓨팅하는 기능을 제공해요구글에서 스마트글래스 제품들을 출시했다가 지금은 단종된 상황이예요하지만사람의 눈의 움직임을 포착하예VR영상과음성인식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하고멀티미디어를 이용하는 기술은 애플에서도개발을하여 점점 저변이 넓어지고 있어요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전기·전자
2024년 5월 2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전기가 보급된 년도는 언제 인가요?
안녕하세요김철승 과학 전문가예요~우리나라 도시에 전기가 들어오기 시작한것은 1960년대부터 입니다.대중적으로 도시에 전기가 보급된것은 1980년대이지요시골지역도 1970년도부터 전기시설이 도입되었지만여전히부족했어요1980년대가 되어서야시골에도 전기가 보편작으로 들어왔어요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전기·전자
2024년 5월 2일 작성 됨
Q.
6g 이동통신 규격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김철승 무선통신 전문가예요~6G 무선 통신에 대한 표준 규격은 전세계 통신 사업자 연합인 ITU에서 정하고요.아직은 6G 무선통신에 대한 세부 규격이 정해지지 않았어요~0.1테라헤르쯔부터 10테라헤르쯔 영역이 가장 유망한 주파수 대역으로 논의되고 있기는한데요~주파수가 높아질 수록 전파의 직진성이 높아지고 전파를 쏠때 많은 에너지가 들어가서 장거리 전송이 24GHz ~ 1000Ghz 대역보다 어렵습니다.24GHz ~ 1000Ghz 대역도 5G 이동통신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미지의 주파수 대역이지만10테라헤르쯔 주파수 보다는 24GHz ~ 1000Ghz 주파수로 전파를 전송하면장거리 전송이 가능해요~6G무선 통신 규격은 지구의 어느곳에서나 5G보다 더 빠른 속도의 통신 속도를 지원해야 하거든요`현재로서는 스페이스x처럼 저고도 위성이 사용될 가능성도 있어요~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려요~
전기·전자
2024년 5월 2일 작성 됨
Q.
중성자라는것은 어떻게 생겼나요??
안녕하세요~김철승 과학 전문가예요~핵에는 양성자와 중성자가 들어있어요~핵자구름이라는 원소들도 함께 들어있는데요핵자구름은 양성자와 중성자 주변을 돌면서 존재하는 파이와 글루온으로 구성되어 있지요중성자는 양성자 2개가 결합하여 에너지를 방출한 후에 생성되요~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전기·전자
2024년 5월 2일 작성 됨
Q.
접지와 절연체라는 애자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김철승 과학 전문가예요~~접지라는 것은 전기가 흘러나갈 수있도록 전선을 연결하여전류를 흘려보내는 처리 방법을 의미해요~낙뢰가 전기 회로에 유입되면 회로에 과도한 전력이 공급되면서회로에 붙어있는 부품들이 타서 고장날 우려가 있어요~그래서,전기 회로는 항상 땅바닥이나 지구와 붙어있는 전선을 연결해서접지를 시켜주죠.절연이라는 용어도 회로에 전기가 흘러들어오지 않도록 분리해주는 조치를의미해요.절연을 위해서 애자를 사용하기도 하구요.애자는 도자기나 유리로 만든 전기 회로들간에 분리를 해주는 기구예요~도자기로 된 애자가 오랫동안 사용되었는데요,깨지기가 쉬워서 유리를 많이 사용하려고 하지만요.유리 애자는 가격이 비싸서 가성비 좋은 도자기 애자가 가장 많이 사용되요~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전기·전자
2024년 5월 2일 작성 됨
Q.
반도체는 수명이 무한인가요??
안녕하세요~김철승 과학 전문가예요~반도체는 전력이 공급되면 열이 발생하는데열에 의해서 반도체 소자가 손상될 수 있어요~전자가 흘러가는 길도 원활하게 뚫려있어야 하는데이 전자가 반도체 내부에서 흘러다니는 길은 반도체 소자가 만드는 것이라서반도체 소자에 변성이생기면 전자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되죠~전자의 흐름이 전류인데 전류의 세기가 특정 수준을 넘으면 1로인식하고특정 수준보다 낮으면 0으로 인식하거든요~그런데 반도체 소자가변성되면원래 설계했던 방식으로 동작을 하지 못하게 되요~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려요~
41
42
43
44
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