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철승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전문가입니다.
김철승 전문가
LG전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3월 23일 작성 됨
Q.
지구는 어떤 원리로 자전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는 각운동량 보존이라는 원리에 의해 자전합니다. 각운동량은 물체의 회전 속도와 질량, 그리고 회전축과의 거리를 고려한 물리량입니다. 지구는 형성 초기 가스와 먼지가 모여 뭉치면서 각운동량을 가지게 되었고시간이 지남에 따라 밀도가 높은 물질이 중심으로 몰리면서 현재의 모습으로 진화했습니다.지구 자전의 원리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물체에 작용하는 외력의 토크가 없으면 물체의 각운동량은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지구는 형성 초기부터 외력의 영향 없이 자유롭게 회전했기 때문에 각운동량이 보존되었습니다.지구는 중력에 의해 밀도가 높은 물질이 중심으로 몰리고 낮은 물질이 표면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이 과정에서 지구의 회전 속도는 증가했습니다.지구는 회전하는 물체가 방향을 유지하려는 자이로스코프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효과는 지구의 자전축 방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태양과 달의 조력은 지구에 토크를 작용하여 자전축 방향에 미세한 변화를 일으킵니다. 이러한 변화는 세차 운동과 같은 현상으로 나타납니다.지구 자전의 영향이예요낮과 밤: 지구 자전은 낮과 밤이 생기는 원인입니다.계절: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는 계절 변화를 가져옵니다.코리올리 힘: 지구 자전은 코리올리 힘이라는 관성력을 발생시키고, 이는 바람과 해류의 방향에 영향을 미칩니다.지구 자전은 지구 환경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현상입니다.지구는 하루에 한 번 자전하며, 자전 속도는 약 1670km/h입니다.지구의 자전축은 약 23.5도 기울어져 있습니다.지구의 자전은 수백만 년 동안 점점 느려지고 있습니다.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생물·생명
2024년 3월 23일 작성 됨
Q.
바다에서 사는 뱀은 어떻게 호흡을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뱀은 일반적으로 육지 동물이기 때문에 폐를 이용하여 호흡합니다. 바다뱀은 물속에서 생활하기 위해 독특한 호흡 방식을진화시켰습니다.바다뱀은 육지 동물과 마찬가지로 폐를 가지고 있으며물속에서도 폐를 이용하여 호흡합니다.바다뱀의 피부는 얇고 혈관이 풍부하여 피부 호흡이 가능합니다.물속에서 용존된 산소를 일부 피부로 흡수할 수 있습니다.바다뱀의 기도는 폐로 연결되어 있으며 물속에서도 기도를 통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습니다.바다뱀은 잠수하기 전에 폐에 가득 공기를 채웁니다.잠수 후에는 폐를 이용하여 호흡하며 일부 산소는 피부 호흡을 통해 흡수합니다.바다뱀은 수면 중에도 물속에서 호흡할 수 있습니다.바다뱀은 5-10분마다 물속에서 숨을 쉬기 위해 수면으로 올라옵니다.바다뱀의 콧구멍은 머리 위쪽에 위치하여 물속에서도쉽게 공기를 흡입할 수 있습니다.바다뱀은 혀를 이용하여 기도를 막아 물이 폐로 들어가는 것을방지합니다.바다뱀의 피부 혈관은 매우 발달하여 피부 호흡을 효율적으로 수행합니다.바다뱀은 폐 피부 기도를 이용하여 물속에서 호흡할 수 있는 독특한 호흡 방식을 진화시켰습니다. 이러한 호흡 적응 덕분에 바다뱀은 물속에서도 성공적으로 생존할 수 있습니다.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3월 23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에는 어떤 천연자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흔히 한국은 자원이 없는 나라라는 말을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한국에는 다양한 천연자원이 존재하며현재 활용되고 있거나 미래에 개발 가능성이 있는 자원들이 있습니다.광물자원 텅스텐 몰리브덴 아연 납 석회석 백운석 규석 장석 고령토 등해양자원 어족 해조류 석유 천연가스에너지자원 태양광 풍력 수력기타 지하수 숲 토양지질 구조 한국은 다양한 지질 구조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광물자원이 됩니다. 태백산맥 일대는 텅스텐 몰리브덴 등의 희귀 광물자원이 풍부합니다.기후 한국은 온대 기후에 속하며 해양과 산림이 풍부하여 다양한 동식물 자원이 서식합니다.지형 한국은 산지가 많고 해안선이 길어 다양한 에너지 자원을 개발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습니다.해양자원 한국은 해양 영토가 넓고 해양자원 개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석유 천연가스 해조류 등의 개발 가능성이 높습니다.에너지자원 한국은 재생에너지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태양광 풍력 수력 등의 에너지 자원 개발 가능성이 높습니다.지하수 숲 토양 등의 자원을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한국은 자원이 없는 나라는 아닙니다.다양한 천연자원이존재하며 현재 활용되고 있거나 미래에 개발 가능성이 있는 자원들이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자원 개발과 활용을 통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3월 23일 작성 됨
Q.
여름에는 해가 길고 겨울에는 해가 짧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여름에는 해가 길고 겨울에는 해가 짧은 이유는 지구의자전과 공전 때문입니다.4시간 동안 한 번 자전하며 이 때문에 낮과 밤이 발생합니다. 지구는 완벽한 구형이 아니라 약간 타원형이며 자축이 23.5도 기울어져있습니다.지구는 태양을 중심으로 1년 동안 한 번 공전하며 이 때문에 계절이 발생합니다.지구는 공전 궤도가 완벽한 원이 아니라 약간타원형이며 공전 속도도 일정하지 않습니다.지구의 자전축 기울기와 공전 궤도의 타원형 때문에 계절이 발생합니다.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면서 태양에 대한 지구의 위치가 계속변하기 때문에 낮과 밤의 길이가 달라집니다.여름에는 지구의 북극이 태양을 향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북반구는 태양빛을 더 많이 받습니다. 지구는 공전 궤도에서 태양에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에 태양빛이 더 강하게 비춥니다. 이 때문에 여름에는 낮이 길고 밤이 짧습니다.겨울에는 지구의 북극이 태양과 반대 방향으로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북반구는 태양빛을 덜 받습니다. 지구는 공전 궤도에서태양과 가장 먼 위치에 있기 때문에 태양빛이 더 약하게 비춥니다. 이 때문에 겨울에는 낮이 짧고 밤이 길습니다.여름에는 해가 길고 겨울에는 해가 짧은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와 공전 궤도의 타원형 때문입니다. 지구의 자전과 공전은 낮과 밤의 길이 그리고 계절 변화를만드는 원인입니다.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생물·생명
2024년 3월 23일 작성 됨
Q.
두루미 중에는 텃새가 있나요,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 찾아오는 두루미는 대부분 겨울철새입니다. 시베리아 몽골 중국 동북부 등지에서 번식하고 겨울철에먹이를 찾아 한국 일본 등 남쪽으로 이동합니다.일부 두루미는 텃새로서 일년 내내 같은 지역에서 생활하기도 합니다.일본 홋카이도의 쿠시로 습원에는 300여 마리의 텃새 두루미가 서식하며 번식합니다.중국 중국 동북부에도 일부 텃새 두루미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한국 최근 한국에서도 텃새 두루미가 발견되고 있습니다. 2016년 충북 괴산에서 7월에 새끼 두루미가 발견된이후 2022년까지 울산 경남 전남 등 여러 지역에서 텃새 두루미가 관찰되었습니다.기후 변화 지구 온난화로 인해 겨울철 기온이 높아지면서 일부 두루미는 겨울철 이동을 하지 않고 텃새로 생활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먹이 자원 변화 습지 보호 및 복원 활동으로 인해 먹이 자원이 증가하면서 텃새 두루미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입니다.인간 활동 영향 농업 활동 변화 인공 습지 조성 등 인간 활동도 텃새 두루미 증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습지 생태계 유지 텃새 두루미는 습지 생태계의 중요한 일원이며 곤충 작은 동물 등을 먹으면서 습지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생태 관광 활성화 텃새 두루미는 생태 관광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생태계 변화 지표 텃새 두루미의 증가 또는 감소는 기후변화 먹이 자원 변화 등 생태계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현재 텃새 두루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텃새 두루미의 개체수 변화 생태적 특성 인간 활동과의관계 등을 연구하여 텃새 두루미 보호 및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두루미는 대부분 겨울철새이지만 일부는 텃새로서 일년 내내 같은 지역에서 생활합니다.텃새 두루미는 습지 생태계 유지 생태 관광 활성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텃새 두루미에 대한 연구를 통해 텃새 두루미 보호 및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생태계 보존 및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476
477
478
479
4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