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8일 작성 됨
Q.
여름이 겨울에 비해 낮이 긴데 왜 그런건가요?
지구의 자전축이 공전면에 비해 23.5도 기울어져 있기때문에 태양을 향해 기울어진 때는 태양빛을 많이 받기때문에 더운 여름이 되고 반대일경우에는 겨울이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8일 작성 됨
Q.
지구 속은 어떻게 알수 있게 되었을 까요?
말씀대로 어느정도 깊이까지는 직접 연구가 가능하지만, 깊이있는 곳을 연구할때는 보통 지진파를 이용합니다. P파,S파,L파 등을 이용해서 매질에 따라 속도나 통과할 수 있는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이런 지진파를 이용해서 지구 내부의 구조를 알아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8일 작성 됨
Q.
여름에 갑자기 소나기가 쏱아지는이유는?
공기의 상층과 하층의 온도차이가 커지게 되면, 대기가 불안정해지고 구름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두꺼운 적란운이 형성되게 되면 갑작스러운 소나기와 같은 비가 발생하게 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8일 작성 됨
Q.
무중력 상태에서의 근력운동은 가능한가요?
고정식 자전거등으로 유산소 운동을 하기도 하고 고급 저항 운동 장비(ARED) 라는 특수 장비를 이용해서 근육운동을 하기도 한다고합니다. 미세중력 환경에서 중력이 없어서 ARED는 저항을 위해 진공 실린더를 사용한다고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7일 작성 됨
Q.
여름에 지구가 태양과 먼데도 추운이유?
말씀대로 태양빛을 받는 시간이 가장 중요하게 됩니다.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어서 여름에는 태양이 더 오랜 시간 떠있어서 그로인한 태양에너지를 받는 차이가 더 크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7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에서 별자리를 잘 볼수있는 장소를 알려주세요
사실 기본적으로는 구름이 별로 없는 좋은 날씨에 빛이 별로 없는 시골에서 별 보기가 좋기는 합니다.지역별로 별보기 좋은 곳들이 있는데, 질문자분의 위치 근처 기준으로 검색해 보세요.특별히 더 별보기 좋은 장소를 말씀드리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별보기 좋은곳 40가지 이런식으로 정리해 놓은 블로그들도 있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7일 작성 됨
Q.
옛날에는 지구의 크기를 어떻게 잴수 있었나요?
아스완이라는 도시에서 하지날 정오에 막대의 그림자가 전혀 없어지고 하짓날 정오의 알렉산드리아에 비치는 햇빛이 막대기와 이루는 각도는 약 7였습니다. 즉, 두 도시의 거리와 막대가 이루는 각도가 7도라는 점을 이용해서 지구 전체의 크기를 측정했고, 오차가 2% 밖에 안되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7일 작성 됨
Q.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동일한 천체가 우주에는 흔한가요?
위성이 행성주위를 자전 및 공전하면 점점 자전과 공전주기가 맞춰지는 현상은 조석고정이라고 부르며, 특별히 드문 현상은 아니라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7일 작성 됨
Q.
옆 나라는 지진이 많이나는데 우리나라는 안나는이유
맨틀은 여러개의 판으로 이뤄져 있고, 이 판과 판의 경계부위에서 지진이나 화산활동등이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일본쪽이 판의 경계와 비슷해서 더 많은 지진이 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5월 27일 작성 됨
Q.
스티븐 호킹 박사가 말하는 외계생명체에 대해 궁금합니다.
어떤 이유로 그렇게 이야기 했는지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처음 신대륙을 발견해서 원주민들과 서양인들이 벌인 갈등만 봐도, 전혀 다른 상황에 놓인 집단이 처음 만나서 소통도 안되는데 사이좋게 지낼 가능성이 높아보이지는 않습니다.만약 외계인이 있다면 우리의 상황을 최대한 알리려고 여러가지 인류 문화 관련내용을 보낸것 같습니다.
171
172
173
174
1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