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달의 크기가 크게 보이는것은 착시인가요 아니면 진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달이 지구를 공전하는 궤도가 타원형이기 때문에 달이 멀어졌다 가까워졌다 하게 됩니다.말 그대로 달이 가까워지면 더 크게 보이고, 이 가까워지는 순간에 보름달인 경우를 '슈퍼문'이라고 부르고 평소보다 더 크게 보이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블랙홀이라는 것은 왜 모든 것을 빨아들이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모든 질량이 있는 물체는 만유인력의 법칙에 따라서 주변의 물체를 빨아들이게 됩니다. 블랙홀은 질량이 매우 큰 별이 수명을 다하고, 한 점으로 강한 중력에 의해 뭉쳐지게 됩니다.일정수준 이상의 별은 그 중력이 너무 강해져서 빛까지 빨아들이게 되는데 이런 질량이 매우 큰 별에 의해서 블랙홀이 생성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달에서 보이는 달토끼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달의 지형은 바다 (실제 물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크레이터, 산과 산맥, 계곡, 고지등 다양한 형태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여러지형들의 고저 차이에 따라서 어둡게 보이거나 상대적으로 밝게 보이면서 달토끼와 같은 형태로 관찰될 수 있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세계 최초로 달 착륙 탐사선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세계 최초로 달착륙한 것이 두나라라는 것은 잘 모르겠네요,, 가장 유명한 닐 암스트롱의 유인 달착륙은 1969년 7월 20일 일요일 미국이 성공했습니다.하지만, 무인 우주선 착륙을 포함한다면 소련은 1966년 2월 무인 탐사선(루나 9호)을 달에 먼저 착륙시키는데 성공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인공위성은 어떻게 지구를 돌면서 수평방향으로 비행을 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인공위성이 지구 주변을 지속적으로 돌기 위해서는 수평으로 이동을 하면서 지구의 중력과 원심력이 균형을 이뤄야 합니다. 필요에 따라 인공위성 자체가 엔진으로 추진력을 가질 수 있겠고, 적당한 위치한다면 다른 요인이 없다면 균형을 이룬상태로 유지할 수 있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날씨가 순식간에 변해버렸네요. 요즘 널씨는 왜 이렇게 변화가 클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는 어렵겠지만, 지구 온난화로 여름의 온도가 더 올라가고, 겨울에는 주변 대기의 영향으로 오히려 추워질 수 있다고 합니다.여름과 겨울이 더 극단적으로 덥고 추워지면서 봄과 가을이 짧아지고 온도변화가 더 심해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앞으로는 기후변화가 더 극심해지면서 어떤 방식으로 바뀔지 걱정이 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화성은 지구와 어떤점이 비슷한 행성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일단, 화성은 그나마 지구와 가까워서 접근하기 용이하고, 대기가 그나마 있으며 크기도 지구와 비슷합니다.화성의 극지방에는 얼음이 있어서 땅속에는 물이 있을수도 있다고 합니다.당연히 열악한 환경이지만, 그나마 인간이 이주를 꿈꿀수 있는 행성이긴 한거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인터스텔라에서처럼 인간이 중력의 비밀을 풀고 반중력으로 인류사 절대혁명을 이루고 미래로 나아갈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미래에는 현재 상상하기 어려운 다양한 기술들이 구현될 수 있다고 기대합니다.인터스텔라는 영화로서 상상력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어떤 과학적 근거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겠습니다중력의 비밀에 대한 비밀을 풀면 중력을 자유롭게 다루게 된다는 점은 과학적인 내용은 아닌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로 접근하는 소행성의 속도를 어떻게 알 수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속도는 시간에 따른 이동거리 변화이기 때문에 결국 관측을 통해 어느정도 거리변화가 있는지로 계산하면 될 것 같네요소행성을 발견하고 일정시간 후에 어느 위치에 있는지만 관측하면 될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종이컾의 끝이 말려있는 이유는 어떤 과학적인 이유가 숨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종이컵의 끝부분이 말려있는 이유는 크게 2가지 정도라고 합니다.가장 중요한게 종이컵의 강도가 더 강해질수 있겠습니다. 종이컵이 펴져있다면 내구성이 약해집니다.또한 종이컵 끝 부분이 날카롭지 않고 둥글게 만들어서 입이나 신체가 베이지 않게 하는 효과도 있겠습니다
61626364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