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이번 태풍을 보면 상당히 속도가 느리던데 이런 차이는 왜 생기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태풍의 속도는 결국은 주변 대기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됩니다. 태풍을 속도를 결정하는 주변 대기가 빠르다면 더 빠르게 움직일 수 있겠고, 주변 대기의 흐름이 강하지 않으면 천천히 이동하게 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원래 태풍이 10월 달에도 우리나라에 오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일반적으로 10월에 태풍이 오는 경우는 드물다고는 합니다,, 하지만 최초로 10월에 오고나 그런정도는 아니고 과거에도 10월 태풍이 몇번 왔었다고는 하네요,,10월에 태풍오는 경우는 꽤 드물지만 과거에 몇번의 사례가 있다정도로 보셔야 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배경복사의 종류는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질문내용대로 우주배경복사는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종류의 전자기파가 총체적으로 누적되어 전 하늘에 비교적 매끄럽게 관찰된다고 합니다. 빛의 파장 대역에 따라 마이크로파 배경복사, 적외선 배경복사, X-선 배경복사, 감마선 배경복사 등 다양한 배경복사가 존재한다고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에서 초신성의 종류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말씀대로 초신성은 수명이 다하면서 큰 폭발이 일어나면서 밝게 빛나는 현상입니다. 초신성은 수소원소의 존재 유무에 따라 불류하는데, 스펙트럼에 수소의 선이 포함되면 II형, 없다면 I형 (1형) 으로 분류된다고 합니다.I형은 세부적인 특징에 따라 Ia, Ib, Ic 등으로 나눌수도 있다고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오로라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오로라는 태양풍의 입자들이 지구의 자기장과 부딪히면서 마찰되고 상호작용을 하면서 이뤄지는 현상이라고 합니다.따라서 지구의 자기장이 강한 고위도 지방에서 주로 오로로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키가 완전히 큰 나무는 어떻게 그 높은곳까지 물을 빨아 들이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뿌리를 통해 흡수하는 과정은 삼투압에 의해서 이뤄진다고 합니다. 식물의 뿌리 세포 내부는외부 토양 환경보다 용질 농도가 높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물이 흡수되게 됩니다.잎에서는 증산작용 (잎을 통해 물을 배출) 이 이뤄지면, 자연스럽게 물이 빨려올라가는 힘을 받게 되고 높은 나무까지 물이 흡수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높이에서 왜 피트단위가 많이사용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미국과 영국만 다른 단위를 사용하고, 전세계 다른나라들은 m, km 등의 공통된 단위를 사용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미국이 힘이 워낙 쎄기 때문에 자신들만의 단위를 고집하고 있는 상태고,, 비행기 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는 다들 inch, feet 등을 사용한다고 하네요.비행기는 외국과 교류하는 경우가 많아서 힘이 강한 미국의 단위를 사용하는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의 위도에 따라서 자전속도가 왜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가 한바퀴 도는 시간은 일정하지만, 지구의 둘레는 적도지방에서 가장 길게 됩니다.극지방에서는 사실상 한바퀴 도는 동안 움직이는 거리가 0에 가깝습니다.즉, 같은 시간동안 둘레가 더 많이 돌기 때문에 적도부근에서 속도가 빠르고, 극지방으로 갈 수록 자전속도가 매우 느려지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어떻게 탄생한 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약 46억 년 전에 태양계는 거대한 가스와 먼지 구름으로 이루어진 태양 성운에서 형성되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성운은 중력의 작용으로 인해 축적되어 태양과 그 주위의 행성들을 만들어 냈고 그 중에 하나가 지구입니다. 그 중에서 지구는 특정한 조건과 환경에서 형성되어 생명이 탄생하게 되었다고 추측하고 있습니다.'우주에는 지구와 같은 행성이 무수히 많을 것으로 생각되고 어딘가에는 생명체가 살고 있을 거라고 추측됩니다.아주 작은 확률이지만 n수가 워낙 많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에 대한 질량을 구하는게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우주 전체의 질량이라기 보다는 특정한 은하단 등의 질량을 측정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역학질량 (주변 천체들의 움직임등으로 측정)광도질량 (빛의 밝기를 이용해 측정한 질량) 질량을 측정하는 서로 다른 2가지 방법으로 측정했는데,, 역학질량이 광도질량에 비해 매우매우 높다는 것이 관찰되었습니다.즉, 눈에 보이는 부분을 다 더한 질량이 4 인데, 실제로 작용하는 중력(=질량) 은 100 이기 때문에 나머지 96은 보이지 않지만 중력이 작용하는 상태라서 암흑물질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71727374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