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14일 작성 됨
Q.
우주 탐사가 인류의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기본적으로 미지의 분야에 대한 인간의 호기심이 중요하기는 합니다. 우주탐사하는 과정에 여러가지 기술들이 같이 발전하게 되기는 합니다. 인공위성 같은 경우 실제로 일상생활에 여러가지 편리한 점을 제공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14일 작성 됨
Q.
내년에 토성의 고리가 사라 진다고 하는데 정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고리가 사라진다기 보다는 지구에서 보기에 바로 옆면으로 보이기 때문에 각도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고리가 안보이게 된다고 합니다.사라진다기 보다는 각도 때문에 일시적으로 안보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14일 작성 됨
Q.
흔히 말하는 기후와 날씨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기후와 날씨가 비슷한 의미로 쓰이지만, 날씨는 하루하루의 좀 더 작은 단위라면, 기후는 큰 틀에서 종합적인 날씨를 의미하는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14일 작성 됨
Q.
5대양 6대주는 어디를 얘기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5대양은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 북극해, 남극해6대주는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오세아니아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14일 작성 됨
Q.
고온의 날씨에 놓였다면 고온 다습이 더 나을까요 아님 고온 저습(건조)이 더 나을까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고온다습이 찝찝하고 불편할 수는 있지만, 생존의 관점에서는 물이 없는 상태가 더 문제가 될 거 같아서 고온다습이 더 나을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13일 작성 됨
Q.
눈보다 가벼운,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진 눈보라는 어떻게 만들어 지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눈이 내리는 상황에서 강한 바람에의해 흩날리면서 눈보라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눈과 특별히 다른 것은 아니고 강한 바람에 의해 나타난다고 봐야되겠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13일 작성 됨
Q.
태양 표면의 온도보다 코로나의 온도가 더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태양 표면읜 온도는 수천도 이지만, 코로나는 수십만에서 백만도 정도로 매우 뜨겁다고 합니다. 코로나의 온도가 이렇게 높은 이유가 명확하지는 않지만, 자기장과 에너지의 상호작용으로 태양 외부의 대기가 더 뜨거워질 수도 있을거라고 추정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13일 작성 됨
Q.
목성의 위성인 이오는 왜 화산이 많은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겠지만, 지구보다 훨씬 큰 목성과 인근 위성들의 중력에 의해 이오 내부에 마찰열이 발생해서 마그마의 분출을 촉진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13일 작성 됨
Q.
지구와 달은 점점 멀어져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달은 1년에 3cm 정도 지구와 멀어진다고 합니다. 굉장히 오랜시간이 걸리면 지구의 인력을 벗어날 수 있겠지만 굉장히 오랜시간이 걸릴 것으로 생각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9월 13일 작성 됨
Q.
별의 색깔에 따라서 표면온도의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말씀대로 별의 표면온도에 따라 색깔이 달라지게 됩니다. 청색별의 온도가 더 높고, 붉은색의 별의 표면온도가 더 낮습니다.
86
87
88
89
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