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여름에 비해 겨울이 낮이 짧고 밤이 긴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의 자전축이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태양을 향해 기울어져 있을때는 낮이 더 길고, 반대라면 밤이 더 길어지게 됩니다.항성이 2개 이상 존재 하는 환경에서는 밤이 없는 경우가 있을수도 있겠네요,, 일반적으로 자전에 의해 낮과 밤이 생기기 때문에 행성 관점에서는 밤이 있는게 일반적일 거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Q. 독도에서는 어떤 해양생물들이 주로 사나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갯지렁이, 돌돔, 문어다리불가사리, 왜문어, 부채뿔산호, 비늘베도라치, 흰갯민숭달팽이 등등 다양한 생물들이 살고 있다고 합니다. 괭이갈매기를 비롯해 바다제비, 슴새, 매, 물수리, 고니, 흑두루미와 세계적 멸종위기종의 하나인 뿔쇠오리 등 수많은 철새들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바닷가에서 보는 달이 유독 크고 밝게 보이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달이 지평선 부근에 있을 때 크게 보이는 것처럼 느끼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만, 거리가 가까운 지표면 부근의 물체들과 비교되면서 멀리 있는 달이 가까이에 있는 물체들보다 훨씬 더 클 것이라고 하는 기대감이 작용하여 중천에 있을 때보다 크게 느껴집니다. 한마디로 일종의 착시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달은 일그러진 타원 궤도를 따라 복잡하게 지구 주위를 돌고 있기 때문에, 달까지의 거리는 실제로 35만 km에서 41만km까지 꽤 넓은 범위에 걸쳐 달라집니다. 그렇지만 하루 동안의 거리 변화는 그리 크지 않으며, 달이 지평선과 중천에 있을 때의 실제 거리는 날마다 계절마다 달라지므로 어느 쪽이 가까운지 알 수 없습니다.또한 음력 1월과 8월의 보름달은 대보름 달과 추석 달이라고 하여 밝기로 유명하지만 실제 크기는 매년 달라지므로 그 크기를 비교할 수 없습니다. 아무튼 바닷가의 보름달이 커 보이는 것은 기분학상 그런 것 뿐이고, 공전 궤도 상의 달 위치에 따라 결정될 뿐으로 지구상의 특정 장소나 시간이나 계절에 따라 거리가 결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달의 거리 변화율은
지구과학·천문우주
Q. 밤하늘의 별들 중에 항성이 아닌 행성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맞습니다. 밤하늘의 별은 모두 항성입니다, 행성은 빛을 내지 못하기 때문에 눈으로 볼 수 없습니다,,다만 태양계의 행성인 수성,금성,화성,목성,토성 등은 밤하늘의 별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