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를 찍은 사진은 모두흑백이라고 하는데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제임스웹 우주망원경 같은 경우 적외선 관측장비를 이용한다고 합니다. 적외선은 우리눈으로 볼 수가 없기 때문에 흑백으로 보이게 됩니다. 이 때 측정된 파장등을 이용하여, 가시광선 형태로 채색하는 과정을 거치고 나면 우리가 보는 사진같은 색깔 있는 모습이 보이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의 수명이 앞으로 약 50억년이라고 이야기 하는 근거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항성의 수명은 항성의 에너지가 다 떨어질 때 까지 입니다. 태양이 분출하는 에너지와 예상되는 총 에너지량을 이용해서 대략적인 수명을 예측가능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옛날에 지구의 자전시간이 27시간이었다는 걸 무엇을 보고 알 수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중국 청두이공대학 지질학자 황허 박사 연구진은 약 7억~2억 년 전의 해양 환경 암석층 샘플 8개의 데이터를 분석해 지구 자전의 역사를 되짚었다고 하네요. 주기적인 조수의 상승과 하강이 반복되면서 퇴적된 층의 특성을 가진 암석인 조석암을 연구해서 과거 지구의 자전시간을 알아낸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여름에 비해 겨울이 낮이 짧고 밤이 긴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의 자전축이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태양을 향해 기울어져 있을때는 낮이 더 길고, 반대라면 밤이 더 길어지게 됩니다.항성이 2개 이상 존재 하는 환경에서는 밤이 없는 경우가 있을수도 있겠네요,, 일반적으로 자전에 의해 낮과 밤이 생기기 때문에 행성 관점에서는 밤이 있는게 일반적일 거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독도에서는 어떤 해양생물들이 주로 사나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갯지렁이, 돌돔, 문어다리불가사리, 왜문어, 부채뿔산호, 비늘베도라치, 흰갯민숭달팽이 등등 다양한 생물들이 살고 있다고 합니다. 괭이갈매기를 비롯해 바다제비, 슴새, 매, 물수리, 고니, 흑두루미와 세계적 멸종위기종의 하나인 뿔쇠오리 등 수많은 철새들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다른 행성들은 사람이 들어가게되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가장 가까운 행성들 기준으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당연히 지구외의 행성에서는 사람이 생존을 할 수가 없습니다. 호흡할 수 없는 공기도 없고, 온도가 매우 높거나 낮아서 살기는 어렵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금까지 발견 된 별들 중에서 가장 큰 별은 크기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VV시퍼이, 카니스 마요리스 VY 라는 별들이 발견된 별중에 가장 크다고 합니다.태양직경의 1600 ~ 1700배 정도 크기라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바닷가에서 보는 달이 유독 크고 밝게 보이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달이 지평선 부근에 있을 때 크게 보이는 것처럼 느끼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만, 거리가 가까운 지표면 부근의 물체들과 비교되면서 멀리 있는 달이 가까이에 있는 물체들보다 훨씬 더 클 것이라고 하는 기대감이 작용하여 중천에 있을 때보다 크게 느껴집니다. 한마디로 일종의 착시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달은 일그러진 타원 궤도를 따라 복잡하게 지구 주위를 돌고 있기 때문에, 달까지의 거리는 실제로 35만 km에서 41만km까지 꽤 넓은 범위에 걸쳐 달라집니다. 그렇지만 하루 동안의 거리 변화는 그리 크지 않으며, 달이 지평선과 중천에 있을 때의 실제 거리는 날마다 계절마다 달라지므로 어느 쪽이 가까운지 알 수 없습니다.또한 음력 1월과 8월의 보름달은 대보름 달과 추석 달이라고 하여 밝기로 유명하지만 실제 크기는 매년 달라지므로 그 크기를 비교할 수 없습니다. 아무튼 바닷가의 보름달이 커 보이는 것은 기분학상 그런 것 뿐이고, 공전 궤도 상의 달 위치에 따라 결정될 뿐으로 지구상의 특정 장소나 시간이나 계절에 따라 거리가 결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달의 거리 변화율은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밤하늘의 별들 중에 항성이 아닌 행성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맞습니다. 밤하늘의 별은 모두 항성입니다, 행성은 빛을 내지 못하기 때문에 눈으로 볼 수 없습니다,,다만 태양계의 행성인 수성,금성,화성,목성,토성 등은 밤하늘의 별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중력을 안가지고 있는 행성은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중력은 질량이 있는 모든 물체가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력은 무조건 있습니다. 사람 한명한명도 중력은 다 있습니다 (너무 적어서 의미없을 정도지만,,)
9697989910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