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자동차 정비받고 시동이 안걸려요 ㅠㅠ
질문 내용을 하나도 모르겠네요.엔진옆에 있는 부품이 어떤부품인지도 모르겠고, 어떤 차량인지도 몰라서 머리속에 엔진이 그려지지도 않는데다가 배터리고 교환, 엔진오일, 브레이크 패드 교환하고 주행하다 정차후 시동이 꺼졌다?총주행거리도 모르겠어서 고장날만한 부품이 어떤건지도 모르겠네요.주행중 시동이 꺼질수 있는건 발전기 불량과 크랭크 각센서 입니다. 이것 말고도 다른 증상도 있을수 있지만 예상되는건 이두가지중 한가지 일것 같네요.아니라면 질문에 차종, 교환되는 부품, 총주행거리, 진단기로 스캔한 내용이 있으면 같이 올려주세요.
Q. 차를 구입했는데 자주나가지 않다보니 주차해두고 2~3일에 한번씩 방전되지않게 시동만 걸어주는데 차에 무리가 가진 않을까요?
차를 너무 안타도 때되면 고장나는 부품들이 있어요. 방전되지 않게 2~3일에 한번씩 시동을 걸어 30분 정도를 유지해 주세요.엔진오일은 주행거리가 많치 않으시니 6개월에 한번 교환해 주시구요.이제 곧 장마철이라 세워두는 기간이 더 많으시겠지만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쇠로된 부품들(브레이크 디스크, 하체 볼트류)이 녹이 생깁니다.어떤 차량을 소유하고 계신지 모르겠지만, 국산차 기준으로 이야기 드리면 하체는 언더코팅을 해주시는게 좋습니다.국산차 대부분은 차량하부가 기본 철판 도장만 되어 있기때문에 부식발생이 잘 됩니다.염화칼슘에 특히 취약 합니다.브레이크 디스크는 습기가 있는곳에 세워두기만 하면 녹이 생기죠. 운행을 해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면 없어지는데, 지금처럼 운행이 없으면 녹이 깊어져서 디스크 마모가 더 빨라집니다.주말에라도 가까운곳으로 나들이겸 운행을 해주세요.
Q. 자동차 정비 자격증 취득이 쉬울까요?
자동차 기능사와 산업기사 필기 시험은 독학으로 한번에 패스 했습니다. 대학교를 메카트로닉스 학과를 졸업해서 기계,전기,전자,프로그램의 기초지식이 있어서 혼자 독학이 가능 했어요.하지만 실기 시험은 정비소에서 일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실기시험장에서 하지 말아야 할것과 답안지 작성법과 요령을 몰라 그냥 갔다가 한번 떨어지고 한달 특강반이 있어서 한달 수강후에 합격 했었어요.기능사는 1년내에 취득이 가능하고 1년에 3번 시험이 있습니다.인터넷에 기능사 시험문제를 다운받아서 공부했던거 같은데 어디 사이트 인지는 기억이 나질 않네요.두려워 하지 마시고 취득하고 싶으시면 서점에서 책을 살펴보세요.책을 보고 공부 할만하겠다 싶으면 하시면 됩니다.다른 자격증은 어떤걸 고민하시는지 모르겠지만, 전기자격증이 취업에 많은 도움이 될겁니다.그런데 자동차정비 자격증 하고 전기자격증은 난이도가 엄청나게 큽니다. 수학의 기초가 어느정도 있으셔야 공부가 되실거에요. 전기산업기사는 전기공부를 하는건지 수학공부를 하는건지 헷갈릴정도긴 한데, 전기가 다 계산을 해야하는 일이니까 그럴수밖에 없다싶기도 해요.전기자격증은 실무에서 써먹을게 많은반면 자동차정비는 실무에서 사용되는 비중이 적습니다.고민 잘 하셔서 좋은 도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