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선영 전문가입니다.
김선영 전문가
APEX motors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제품 수리
자동차 수리
2024년 7월 18일 작성 됨
Q.
기름 넣을때 시동을 꺼라고 하는데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선영 엔지니어입니다.연료주입구 캡은 일반 뚜껑이 아니라 압력캡으로 연료가스 압력을 버티는 역할을 하며 자동차에는 증발가스 포집장치(캐니스터)가 장착되어 있는데, 가스 누출이 일어나면 화재 위험이 있을수 있고 차에도 문제를 일으키니까 센서가 있습니다.가스 누출 감지기 같은거라고 보시면 되요.시동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주유구 캡을 열면 자동차는 어떻게 생각 할까요?연료가 새고 있다고 생각을 하고 경고등을 띄웁니다.경고등이 바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나중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하지만 진단기로 스캔을 해보면 고장기록이 연료 가스 대량 누출이라고 기록되어 있게 되요.증발가스는 엔진을 흡기매니폴드로 보내져서 연소 시킵니다. 그리고 혹시나 연료가 뜨거운 머플러에 떨어져 화재라도 날까 우려해서 그러는 것도 있어요.시동 끄고 주유하세요.
자동차 수리
2024년 7월 18일 작성 됨
Q.
자동차가 신호를 기다릴려고 서행을 하면 시동이 꺼집니다.
안녕하세요. 김선영 엔지니어입니다.차종이 뭔지 총주행거리도 알아야 하고 최근 정비한 내용은 어떤게 있고, 연료타입은 어떤건지도 알려주셔야 답변 하기가 수월 합니다.질문 내용만으로는 답변하기 어렵습니다.
자동차 수리
2024년 7월 18일 작성 됨
Q.
자동차 브레이크패드 교체주기는??
안녕하세요. 김선영 엔지니어입니다.보통 승용차들은 5만~ 6만키로에 한번씩 교환 하기는하는데, 브레이크 사용 빈도수가 많은 도심 운행 차량들은 3~4만키로 만에도 교환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사용한만큼 빨리 닳는것도 있지만 브레이크패드의 재질에 따른 영향도 있습니다.
자동차 수리
2024년 7월 18일 작성 됨
Q.
침수차가 좋지 않다고 상각하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선영 엔지니어입니다.침수차도 종류가 있는데 도로가 침수되어 있는데 침수로를 지나다가 엔진이 사망하거나 자동차가 셧다운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타이어절반정도의 침수로는 터보가 장착된 차량들은 취약해요.인터쿨러가 밑바닥쪽에 장착되어있는 차량들이 엔진이 멈춰버리는 증상이 일어나는데 인터쿨러 호스로 물을 빨아들여서 엔진으로 물이 들어가기 때문에 멈추는겁니다.엔진을 완전히 오버홀(완전분해)해서 엔진 내부에 찬 물과 녹을 제거한뒤 윤활시켜 줘야 합니다.터보는 교환 해야 하구요.수입차는 보통 천만원이 넘는 수리비가 나오게 되죠.이것 뿐만이 아니라 물이 실내로 들어갔으면 실내 바닥쪽에 전자모듈이 잠겨서 사망하게되어 교환해야 하죠.흙탕물이니 진흙도 제거 해야 하구요.이건 침수로 주행중 멈춰버린 차량의 예이고, 완전 침수가 있습니다.차의 절반이 물에 잠겼던차는 실내 내장재를 전부 크리닝 해야 하고 이중철판으로 된 휀더 같은곳은 크리닝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일반차에 비해 부식이 빠를수 있습니다.일단 수리비가 너무 많이 나오고 부식될 소지가 많기 때문에 꺼리는 겁니다.판매시엔 침수차였다는것도 반드시 고지 해야 하구요.
자동차 수리
2024년 7월 18일 작성 됨
Q.
자동차 엔진오일 교체 주기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영 엔지니어입니다.일반유를 주입하시면 5000km나 6개월에 한번 교환 하시고, 합성유를 주입하면 10000km나 6개월에 한번 교환 하시는데 디젤 차량이라면 교환 주기를 1000~2000키로 정도 앞당겨 교환 해주시는게 가장 좋습니다.엔진오일의 역할이 궁금하시면 자세하게 포스팅 해둔것이 있으니 참고 하세요.https://kimpro-life.tistory.com/m/71
81
82
83
84
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