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김한 전문가
구름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산관리
2024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월급의 적정 저축률과 투자 비율은 연령대별로 어떻게 달라져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적정 저축율을 개인적인 의견은 60%정도입니다.이유는 고물가시대에서 실질임금이 거의 안오르는 상태에서 현실적으로 그 이상을 넣기가 힘들기 때문입니다.60%도 적은 것은 아니며 월세를 내는 입장이라면 45~50%가 현실적이라고 보입니다.월 300만원이라고 가정한다면 180만원정도 저축과 나머지로 생활을 하셔야 5년이내 1억만들기가 가능합니다.사실상 현금 자산이 5억 이하라면 저축이 곧 투자로 진행하는 것이 좋은데근로소득의 저축을 투자로 변환시켜 자산소득을 올리는 방향으로 가야합니다.단순 저축으로는 이자가 물가상승률을 못 이기기에 결국 돈의 가치는 하향되어 실질적 이익이 없습니다.투자로 인하여 최소 5%이상 수익을 벌어야만 물가상승률 이상으로 돈을 번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예금·적금
2024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지금 금리인하로 말들이 많은것 같은데 기준금리란무엇이고 대출금리하고 연관성이 많은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정하는 금리로 일반 시중은행에게 빌려주는 돈의 이자를 뜻합니다.그렇다면 시중은행은 그 돈을 가지고 와서 +@ 이윤을 붙여서 대중들에게 대출상품을 만듭니다.이것이 시중금리이죠.여기서 시중금리에 +물가상승률을 더하여 소비자에게 전가하기 때문에일반 국민들은 기준금리보다 훨씬 높은 금리로 대출금리가 형성되게 되는 것입니다.대출금리가 낮아질려면 기본적으로 기준금리가 낮아져야하며 규제가 줄고 수요가 적어야 가능합니다.그러나 지금의 경우는 규제로 인하여 공급이 줄고 대신 수요는 많으니 은행입장에서 이윤을 추구하기 위해선 시중금리를 올리는 수 밖에 없는 것이죠.이것이 기준금리를 낮춰도 시중금리가 오르는 경우의 이유입니다.
예금·적금
2024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적금과 예금의 수익률 차이가 크지 않다면 어떤 상품을 선택하는 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적금과 정기예금의 투자방식의 차이에서 결정하시면 되는데 단순히 수익률로 보면정기예금이 적금에 비해 약 1.5배 높습니다.적금은 일정량을 꾸준히 넣는 것이고예금은 목돈 자체를 연간해서 넣는 것인데월로 따져만 봐도 적금은 처음에 적게 넣은 상태에서 그 돈에 대한 이자를 받고예금은 처음 부터 높은 목돈에 대한 이자가 붙습니다.
대출
2024년 11월 29일 작성 됨
Q.
10억 아파트 대출 받을 수 있는 방법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10억이라하면 요새 대출규제로 인하여 DSR 40%이하로 맥스잡아도 현금 4억이상 가지고 있으셔야 가능할 것입니다.소득 수준과 회사원이라면 기업규모, 신용정보 등에 따라 달리하겠지만 현재로서는 10억이라고 하면 쉽지 않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11월 29일 작성 됨
Q.
파이코인은 정말 상장을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개인적으로 저도 파이코인 채굴을 했었지만 아직도 안된다는 게 사실상 가능성은 거의 희박하다고 보여지고희망고문일 것이라고 생각됩니다.물론 그거 한번 클릭이 어려운 것은 아니지만 굳이 거기에 신경쓰고 정보를 찾기보다는 아예 잊고 다른 쪽으로 시간투자를 하시는 것이 현명해보입니다.
236
237
238
239
2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