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내용과 같이 골절 시기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의사들도 골절이 되자마자 대부분 병원으로 오시고 골절 시기를 추정해야하는 경우가 잘 없기 때문에 X-ray만 보고 골절 시기를 판단하는게 쉽지 않습니다.하지만, 아예 불가능한건 아니고 골절선이 얼마나 뚜렷하냐, 골막 반응이 보이느냐, 연골성 가골 형성이 있느냐 등으로 골절 시기를 추정해볼 수 있습니다.골절선이 뚜렷하면 0~1주, 골막 반응이 시작되면 1~2주, 연골성 가골이 형성되기 시작하면 2~3주, 가골이 명확해지면 3~6주 정도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골절선이 흐려졌고 가골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2~3주경이 아닌가 의심이 되지만 제가 골절을 주로 보는 정형외과 전문의가 아니라서 정확도가 떨어집니다.영상의학과 전문의나 정형외과 전문의의 고견을 구해보시는게 도움이 되겠습니다.내가 신도 아닌데 어떻게 아느냐라는 표현은 저는 의료진이 사용하기에 부적절한 표현으로 생각되며 이러이러해서 판단이 어렵다, 이정도는 추정해볼 수 있다 이렇게 이야기하는게 적절하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의사라고 다 같지 않기 때문에 조금 더 자세히 설명을 해주실 좋은 의료진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짐작하기에 아기가 골절이 있었는데 언제 생겼는지를 모르시는 상황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이정도 골절이면 아기가 팔을 못썻을태고 붓기가 심했을텐데 골절 시기가 파악이 안되시는걸까요?
Q. 군대 공익 대학병원금액이 어느정도 나올까요?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어떤 검사를 하게되느냐에 따라서 금액에 차이가 크겠습니다. 진료비보다는 어떤 검사를 하게되느냐에 따라서 차이가 커집니다. 일자목은 신체 군대 신검에 영향을 줄 부분이 없어서 의미없는 진단으로 보이고 편두통은 신경과 진료를 받으시면 되는데 자세한 검사를 할만한 진단명이 아닙니다. 유당불내증은 유당 내성 검사, 수소 호기 검사를 하게될텐데 모두 검사비가 많이 발생할만한 검사는 아니겠습니다. 특히 유당불내증은 1급판정이고, 일자목은 1~3급, 편두통도 대부분 1~3급이고 기능적 장애를 동반한 만성 편두통이 4급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의미있는 병역면제나 보충역 판정을 받기는 어려워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