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재활의학과 전문의, 근골격계, 근전도,뇌졸중, 법원의료감정

재활의학과 전문의, 근골격계, 근전도,뇌졸중, 법원의료감정

남희성 전문가
대학병원 재활의학과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귀안에 물이 들어갔을때 쉽게 제거하는 방법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물이 들어간 귀를 아래쪽으로 향하게 기울인 후, 콩콩 뛰거나 고개를 좌우로 흔드는 방법이 있겠습니다. 손바닥을 귀에 대고 오목하게 모아서 음압을 만들어 물을 빼내는 방법도 있는데 아주 부드럽게 시행해주셔야겠습니다. 이외에 헤어드라이어로 약한 바람으로 쐬 주는게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혈관에 쌓인 혈전을 녹여주는 약품이나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혈전에 대해서 궁금하신게 맞나요? 혹시 기름이 끼는 죽상경화에 대해서 궁금하신거 아닌가요?혈전은 건강한 성인에서는 쌓이지 않습니다.혈전이 생겼다는 이야기는 심부정맥혈전증, 폐혈전색전증 이런 식으로 치료를 받아야하는 상황이니까요.혈전의 경우에 남성에서는 잘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여성에서 여성호르몬 때문에 혈전이 잘 생기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래서 여성 호르몬제인 피임약을 먹다가 혈전이 생겨서 병원에 오시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고지혈증에 의해서 혈관안에 기름이 끼는건 죽상경화입니다.이미 생겨버린 죽상경화를 녹이는 방법은 없습니다. 일부 잘못된 건강기능식품 광고에서 혈관을 청소해준다는 식으로 광고를 하는데 이건 의학적으로는 잘못된 표현입니다.죽상경화가 있는 경우에 병원에서는 더 이상의 진행을 막기 위해서 생활교정 및 고지혈증약을 처방하게됩니다.만약 정말 혈전을 관리하고싶으시다면 aspirin같은 항혈소판제를 복용하시는게 맞겠습니다.이미 생긴 혈전을 녹이는 방법은 fibrinolysis라고 해서 혈전용해제를 사용하는건데 이건 심근경색이나 뇌경색에서 심장과 뇌의 혈관을 막아버린 혈전을 녹이는 치료입니다.
산부인과
산부인과 이미지
Q.  생리전에는 왜 피로감이 더해지는걸까요?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생리전 호르몬 변화로 인해서 수면부족, 영양 불균형, 혈당 변화,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어서 이게 피로감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겠습니다.
피부과
피부과 이미지
Q.  정수리ㅜ탈모인가요 ? 가마인지 탈모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아직 탈모를 걱정할때는 아니겠습니다. 시간을 두고 사진을 찍어보시면서 변화를 관찰하셔야겠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Q.  누워있다가 일어나서 기절했는데 어떤 증상인가요?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미주신경성 실신은 부교감 신경이 항진될 수 있는 상황에서 생기는 문제이며 오랫동안 서있다거나 화장실에서 대변을 보는 과정에서 주로 생깁니다. 작성자분은 누워있다가 일어나는 순간 생긴 어지러움 및 의식소실이기 때문에 기립성 저혈압에 의한 실신이 맞겠습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머리의 위치가 갑자기 심장보다 높아지면 순간적으로 수압차에 의해서 머리로 가는 혈류가 줄어들어서 어지러움을 느끼게 되는 현상입니다. 일반적인 사람들은 이런 상황에서 교감신경이 작동해서 다리에 있는 혈류가 빠르게 심장으로 들어오면서 그 혈류를 다시 머리로 보내줘서 어지럽지 않지만 이 기능이 좀 떨어지는 사람들에서 기립성 저혈압 증상이 생깁니다. 굉장히 흔하고 병이라고 표현하기도 어려운 증상입니다.보통 약물을 쓰지는 않고 일어나기 전에 다리를 좀 움직이고 일어나거나 일어날때 확 일어나지 말고 천천히 일어나는 방법을 쓰라고 이야기 하며 만약 어지러움이 나타나면 머리를 아래로 떨어트리는 (책에는 머리를 두 다리 사이에 넣으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행동을 통해 어지러움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어지러움도 어지러움이지만 심하면 순간적으로 기절(실신)까지 할 수 있기 때문에 어지러움이 느껴지면 꼭 머리를 아래로 떨어트리는 동작을 취하시기 바랍니다. 또 도움이 될 방법은 음식을 짜게 먹는 방법입니다. 짜게 먹는게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무조건 안좋은 행동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작성자분처럼 기립시에만 나타나지만 저혈압이 유발되는 분이라면 혈압을 조금 높이기 위해 짜게먹는 식습관을 시행해 보기도 합니다.만약 증상이 심하면 midodrine, fludrocortisone 같은 교감신경 항진 약물이나, 당질 코르티코이드 제제의 약물을 복용하는 방법까지 있으니 너무 불편하시면 병원 방문하셔서 복용해보시는 것도 방법이 되겠습니다.
341342343344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