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서민석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전문가입니다.
서민석 전문가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내과
2024년 7월 16일 작성 됨
Q.
아침부터 체한것처럼 명치쪽이 아픈데요
안녕하세요. 서민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일단 해열제나 진통제는 복용하시길 바랍니다. 다만 타이레놀이 좀 더 좋기는 할 거에요. 다른 약은 속이 좀 쓰릴 수 있거든요. 문제는 왜 춥고, 열나면서 토하는지입니다. 증상 호전이 없다면 병원에 가서 확인을 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피부과
2024년 7월 16일 작성 됨
Q.
탈모약 먹으면서 수염 제모 받으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서민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제모를 하게 되면 모낭이 손상되면서 털이 더 나지 않게 됩니다. 탈모약을 복용한다고 해서 모발이 다시 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피부과
2024년 7월 16일 작성 됨
Q.
햇빛에 노출되어 살이 탔어요.치료방법
안녕하세요. 서민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일광 화상입니다. 1도 화상이라고도 하지요. 일단 냉찜질을 해 주시고, 이후에는 보습제를 잘 발라주시기 바랍니다. 가렵다면 냉찜질로 해결 가능하지만 심하다면 항히스타민 연고를 발라 보셔도 됩니다.
피부과
2024년 7월 16일 작성 됨
Q.
허벅지에 여드름 같이 볼록 튀어나온게 있는데
안녕하세요. 서민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아마 피지 낭종이었을 것 같습니다. 짜낸다고 해서 없어지는 것이 아니랍니다. 낭종 자체를 제거해야 재발하지 않아요. 제거를 위해서는 외과나 피부과 등에 가보시면 됩니다.
비뇨의학과
2024년 7월 16일 작성 됨
Q.
유치도뇨를 장기간 하게되면 부작용이 심한가요
안녕하세요. 서민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노인의 경우 유치 도뇨관을 하고 난 이후에 제거를 못하는 경우도 있기는 합니다. 방광이 조절 기능을 잃어 버리는 것이지요. 일단 훈련은 시도해 봐야 합니다. 만약 스스로 조절이 안된다면 장기간 사용해야 합니다. 아무래도 활동이 많이 불편하시기는 할 거에요.
내과
2024년 7월 16일 작성 됨
Q.
과민성대장증후군 빈속에 음주할 시에
안녕하세요. 서민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검은색 가루의 정체를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과민성 대장 증후군 증상이라고 판단되지는 않습니다. 음주도 관련은 없을 것 같구요. 주로 먹은 음식의 영향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내과
2024년 7월 16일 작성 됨
Q.
10개월 아기 ALP 수치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ALP라는 수치는 아이에서는 정상적으로 올라갑니다. 뼈가 성장하는 결과로 상승하는 것입니다. 다만 현재 수치가 정상보다는 많이 높기는 합니다. 발달 장애의 경우는 ALP가 정상보다 낮을 때 의심을 해볼 수 있습니다. 일단 너무 염려하지 마시고 추적 검사를 받아보시지요.
신경과·신경외과
2024년 7월 16일 작성 됨
Q.
뇌전증 환자의 뇌에 적절한 자극을 주는 운동을 하면 더 좋더고 하던데 정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서민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뇌전증이 있을 때 뇌의 강한 자극은 피해야 합니다. 다만 적당한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은 뇌전증 발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산부인과
2024년 7월 16일 작성 됨
Q.
아기를 가졌을때 배가 불러오는 개월수는 대략 언제부터 인지요?
안녕하세요. 서민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임신을 해도 초기에는 외형으로 구분하기는 어렵습니다. 임신 중기, 16주차 경 이후로 배가 나오는 것을 느낄 수가 있습니다.
안과
2024년 7월 16일 작성 됨
Q.
안경을 쓰면 시력이 오히려 안좋아지기도하나요?
안녕하세요. 서민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안경은 시력을 교정하는 의미일 뿐입니다. 쓰지 않는다고 해서, 반대로 쓴다고 해서 시력이 더 나빠지는 것은 아닙니다.
36
37
38
39
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