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서민석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전문가입니다.
서민석 전문가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안과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지인중에 안경을 쓸때도 있고 안쓸때도 있는데 오히려 눈시력에 더 해롭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서민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안경은 시력을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은 아니지요. 잘 안보이는 것을 교정하기 위해서 착용하는 것이라서 안경을 계속 착용하지 않는다고 더 나빠지는 것은 아닙니다.
내과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여름에는 식중독에 걸릴 확률이 상당히 높은데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어떤 생활습관을 가져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서민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여름철에 식중독의 위험이 급증하는 것은 온도 때문입니다. 상온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증식이 급격하게 유발되기 때문이지요.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음식을 잘 익혀먹고 손을잘 씻는것이 중요합니다.
안과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평소 근시가 있었는데 점점 나이들면서 난시끼가 생겼다고 하던데 원인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서민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난시와 근시는 다른 개념입니다. 근시는 먼곳이 잘 안보이는 것이고 난시는 안구 표면의 이상 때문에 먼곳이나 가까운곳 모두 흐리게 보이는 겁니다.
이비인후과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가벼운 구내염 ? 아니면 설암일 수도 있을까요 ?
안녕하세요. 서민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흡연자들은 늘 뭔가가 생기거나 이상하면 '암'부터 염려하게 됩니다. 왜냐면 당연히 흡연이 암의 위험요인이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지요. 사진만 보면 단순한 구내염이라고 보입니다. 그렇다고 해도 앞으로의 건강 관리를 위해서 금연을 강력하게 권유드리고 싶네요. 금연하지 않으면 이런 불안은 앞으로 없어지지 않을 거라서요.
피부과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태닝은 인위적으로 피부를 태우는 행위인데 피부에는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서민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자외선에 피부를 노출시킬 수록 피부암의 발생 위험이 증가하게 됩니다. 그래서 가급적 태닝은 하지 않도록 권유드리지요.
안과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사람이 쓰러졌을 때, 바로 눈부터 확인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서민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의식이 없을 때 눈을 확인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기는 합니다. 왜냐면 숨을 쉬는지, 맥박은 뛰는지부터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니깐요. 문의 주신 것처럼 눈을 확인하는 것은 동공 반사를 통해 뇌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입니다. 물론 사람이 쓰러졌으면 눈부터 보면 안되고 호흡과 맥박부터 확인하셔야 하구요.
기타 의료상담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자전거를 오래 탔는데 엄지발톱 색깔이 보라색으로 변했습니다. 부딪히지 않아도 발에 힘을 줘서 압력을 오랫동안 받으면 발가락에 멍이 들기도 하나요? 혹시 이런 특징을 가진 병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발톱이 보라색으로 변했다면 아마 발톱 밑에 피가 고였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세게 부딪히지 않아도 지속적으로 자극을 주면 조갑하 출혈이 유발될 수 있지요. 아프다면 가능성이 높구요. 무리한 운동을 당분간 피하시면 저절로 흡수될 겁니다.
안과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라식 후 빛 번짐 현상은 원래 자연스러운건가요?
안녕하세요. 서민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라식 수술을 하고 나서 생기는 가장 큰 불편함이 빛 번짐과 안구 건조입니다. 특히 야간에 증상이 심해질 수 있답니다.
내과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증상 없이 횡문근융해증이 생길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서민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근력 운동을 무리해서 하면 근육 세포가 손상되어 횡문근 융해증이 생길 수는 있지요. 소변 색깔이 괜찮다면 근육 효소 수치가 상승했다고 해도 큰 문제는 없을 겁니다. 아프지 않다면 크게 염려할 정도는 아니라고 봐도 됩니다.
소아청소년과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아기 노란눈꼽증상 혹시 아데노일까요?
안녕하세요. 서민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증상만으로 감기의 원인 바이러스를 찾기는 어렵기는 하지요. 계절적인 상황과 증상을 고려하면 아데노 바이러스 감염도 고려해 볼 수는 있지만..원인을 찾는 것보다는 증상에 맞는 약물 치료를 하면서 지켜 봐도 될 것 같습니다. 아데노 여부를 알려면 바이러스 검사를 해야 되는데..큰 병원에 가야 하고, 아데노가 맞다고 해도.치료가 달라지지는 않거든요.
91
92
93
94
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