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원화로 가지고 보관을 하기보다는 달러로 환전해서 보관하는게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현재 환율이 지금 보다 10~15% 이상 더 올라간다는 확신이 있으시면 원화를 달러로 바꿔서 가지고 있는 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금일 기준 환율이 달러당 1,465원인데 달러당 1,600원이 훌쩍 넘어야 합니다. 거의 금융위기 초입 수준이라 당국에서 가만 있지 않을테고 미국 또한 자국 달러가 너무 강하게 유지되는 것을 원치 않을 듯합니다. 결과론이지만 환율이 1,300원대 중후반 정도만 되어도 투자 가치가 있을 듯한데 현재 환율은 당분간 달러 투자가치를 두기에는 너무 많이 오른 측면이 있습니다. 익히 아시겠지만 달러 살 때 환율이 더 높은 점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Q. 조선 업계 흑자 전환이 됐다고 하던데 이게 지속이 가능할 지?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지난 2016년 국내 조선업계는 13년만에 가장 낮은 수주 잔량을 보여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국내 조선업계의 수주 잔량이 3천만톤을 돌파했습니다. 이는 동기간 일본의 수주 잔량 2,650만톤, 유럽 1,440만톤, 중국 1,300만톤에 비해 월등이 큰 잔량입니다. 아래 조선 빅3 실적과 고부가가치 선박인 LNG선 인도 일정을 보면 올해도 실적이 좋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습니다. 미국 등 서방이 중국이 아닌 우방국 위주로 물량을 몰아 주고 있고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인플레이션으로 교역량이 줄어들어 선박 발주량이 줄어든 면도 있습니다.
Q. 이번 트럼프 행정부의 캐나다, 멕시코 관세 부과에 대해 골드만 삭스는 일시적일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한다고 하는데요. 어떤 근거로 그런 전망을 하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아마도 물가 때문이라 판단됩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미국에 에너지, 경공업, 전지전자 제품, 자동차 등 셀 수 없이 많은 종류의 재화와 서비스를 수출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관세 25%를 부과 하게 되면 당장에 가격을 올릴 수 밖에 없으니 미국 물가를 자극하게 되고 이는 미연준의 금리 인하 명분을 저해해 서민 생활이 더욱 팍팍해 질 수 있습니다. 아마도 이런 이유로 장기간 두 국가에 25%의 관세를 유지할 수 없을 것이라는 논리 같아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