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코스피 대형주의 시가총액은 어떤 변화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2015년 코스피 시가총액 1~10위는 아래와 같습니다.삼성전자, 현대차, 한국전력, 삼성물산, 삼성전자우, 아모레퍼시픽, 현대모비스, SK하이닉스, 삼성생명, LG화학 순이었습니다.현재 코스피 시가총액 top 10은 아래와 같습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삼성바이오로직스, 현대차, 셀트리온, 기아차, 삼성전자우, KB금융, 네이버 순입니다. 10년 전에 순위표에 있었던 한국전력, 삼성물산, 아모레퍼시픽, 현대모비스, 삼성생명, LG화학은 모두 현재 순위 밖이고 LG화학에서 물적분할로 탄생한 LG에너지솔루션,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기아차, KB금융 및 네이버 순으로 바뀌었는데 10년전과 같이 10위권내에 위치한 종목은 삼성전자, 현대차, 삼성전자우, SK하이닉스입니다. 10년 만에 바이로씨밀러 양사와 2차전지 회사가 진입했고 기아차가 진입하게 이채롭습니다. 격세지감입니다.
Q. 미국의 유럽, 아메리카에 대한 관세 폭탄이 중국의 경제에도 악재라 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의 전통 우방인 유럽 국가들에 대한 관세 부과와 영토 탈취 위협 등은 중국 경제에 악재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식에 직접 언급할 정도로 미국의 경제 전쟁의 주적입니다. 미국의 다른 국가들에 대한 관세와 다양한 무역보복이 중국에는 양태는 다르나 모두 구현될 가능성이 큽니다.말씀대로 모든 제품에 대한 메이드인 차이나는 향후 커다란 사업적 리스크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섬유업체들은 중국산 면화로 만든 원단 사용이 이미 금지 되어 있고 토마토 같은 농산물, 2차전지, 반도체 등 거의 전 산업부문에 중국산은 미국 시장 진입이 점점 불가능해 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