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11월 26일 작성 됨
Q.
코인의 거래대금 규모는 어느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전세계 코인 거래 규모는 추산이 쉽지 않습니다. 제도권에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만, 국내 코인 시장의 거래 규모는 최근 시장 활황으로 24시간 기준 약25조원으로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 거래량 대비 10조원이 더 많은 상황입니다.
2024년 11월 26일 작성 됨
Q.
가끔씩 국내 코인만 오르는 경우는 뭐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근래 전형적인 순환매 장세입니다. 대장인 비트코인이 급등한 후에 주력 알트 코인과 밈코인 코인 상승 후 덜 상승한 것으로 여겨지는 김치코인들에 시세가 몰리고 있습니다. 단기간 커인 시장 전체가 한번씩 상승하는 추세로 판단되면 이후 더 큰 상승을 위해서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주력 코인들이 다시금 급등을 해야합니다.
2024년 11월 26일 작성 됨
Q.
나스닥100에 매달 100만원씩넣으면 되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나스닥100처럼 지수에 매달 분할 매수한 후 일정 기간 홀딩하는 것은 매우 유용한 투자 방안이라 판단됩니다. 근래 환율과 한국 주력기업의 실적 부진 및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등을 고려했을 때 당분간 국내 주식 보다는 미국 주식 투자가 더 유리할 듯합니다.
2024년 11월 25일 작성 됨
Q.
미국은 코인을 사기에서 코인경제 육성으로 발전 시키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아직도 사기인식이 강할정도로 왜 안변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한국에서는 코인 다단계 사기 등의 피해가 그간 상당히 많았고 경제 규모가 미국 보다 좁은 탓에 이미지 쇄신이 잘 안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과거 사기 죄과에 대한 처벌이 미국 등 선진국 보다 약해서 사기 범죄에 대한 재발 가능성도 높아서 가상자산에 대한 인식이 극단적으로 나뉘는 듯합니다. 가상자산 과제 부분은 당장 내년 시행은 쉽지 않아 보이고 당정에서 협상을 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금융당국에서는 가상자산의 본격적인 제도권 진입을 위해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주력 코인에 대한 ETF 상품 승인을 하면서 여러 가지 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트럼프와 일론 머스크가 가상 자산에 긍정적인 면도 미국 중심의 블록체인 산업의 중흥을 기대케 합니다.
2024년 11월 25일 작성 됨
Q.
공유 경제의 지속 가능성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우버, 에어비앤비 같은 공유 경제는 경제불확실성 문제 해결 또는 완화 보다는 고용창출과 유휴 리소스 사용이라는 긍정적인 면이 더 클 듯합니다. 물론 개인정보와 보안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나 해당 사업 모델이 상당 기간 운영되고 있어서 문제 개선이 빠르게 되고 있는 듯합니다. 공유경제는 코로나19 판데믹 때 상당한 사업 진행에 어려움을 겪었고 공유오피스 사업 모델은 붕괴 직전까지 갔습니다만 판데믹 이후 상당 부분 정상 궤도로 복귀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노동시장 측면에서는 정규직 일자리를 줄이는 효과 보다는 필요할 때 일을 할 수 있는 노동의 탄력성과 소득의 탄력성 측면에서 긍정적일 듯합니다. 이러한 공유경제는 전통적인 경제학 이론을 바꿀만큼 커다란 변화를 점진적으로 몰고 올 듯합니다.
386
387
388
389
3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