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얼룩말과 기린은 왜 함께 서식할까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기린과 얼룩말은 주로 아프리카의 사바나 초원과 같은 비슷한 생태계에서 서로 공존하며, 서로 다른 생활 방식과 식습관 덕분에 큰 갈등 없이 함께 살아 갈 수 있습니다. 얼룩말은 주로 짧은 풀(지면에 가까운 풀)을 섭취하고, 기린은 높은 나무의 잎과 가지를 먹기 때문에 먹이 경쟁을 하지 않습니다. 또한 얼룩말은 큰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데, 이는 포식자들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할 수 있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얼룩말에 비하여 기린은 작은 규모의 무리 또는 느슨한 군집을 형성하기 때문에 종종 다른 종의 동물 무리와 함께 생활하기도 합니다. 포식자의 접근을 감지할 때 서로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얼룩말은 지면 가까이에서 움직임을 감지하고, 기린은 높은곳에서 넓은 시야로 위험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Q. 식물의 비영속성 바이러스중에 주로 진딧물류로 전염되는건 뭐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식물에 감염되는 비영속성 바이러스 중에서 진딧물을 매개로 전염되는 바이러스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인 몇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포테이토 바이러스(Potato Virus) : 감자, 토마토, 가지, 피망 등 솔라낙과 식물에 감염되는 바이러스로 잎에 황변이 발생하고, 감자의 경우에는 덩이줄기 가 부패하고 생산량이 감소합니다. 토바코 에치 바이러스(Tobacco Etch Virus): 담배, 콩, 오이, 호박 등 에 감염되는 바이러스 이며 잎에 모자이크 패턴 및 얼룩이 생기고 잎의 끝부분에 노란 병변이 발생하며 줄기가 부패하고 식물생장이 저해됩니다. 상추 모자이크 바이러스(Lettuce Mosaic Virus) : 상추, 시금치, 콩에 감염되며 잎에 모자이크 병변이 발생하고 수확량이 감소합니다. 이밖에도 콩모자이크 바이러스, 순무 모자이크 바이러스 등이 포함됩니다. 감사합니다.
Q. 고양이의 균형 감각은 어디에서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고양이의 뛰어난 균형감각은 여러 생물학적, 해부학적, 진화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고양이의 내이에는 전정기관이 아주 잘 발달되어 있어 균형조절을 잘 할 수 있으며 고양이의 척추는 매우 유연하여 급격한 방향전환이나 점프 시에 충격을 덜 받는 구조입니다. 고양이의 긴꼬리 역시 균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도구로써 사용됩니다. 진화적 요인으로는, 오래전부터 고양이는 야생에서 사냥을 위해 민첩하고 균형 잡힌 움직임이 필수 적이었기 때문에 그에 맞게 진화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Q. 월리스라인을 사이에 두고 동식물들이 확연하게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월리스 선은 19세기 말 영국의 생물학자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가 제안한 생물지리학적 경계입니다. 월리스선의 서쪽은 주로 아시아 대륙의 생물종이 서식하며, 호랑이, 코끼리, 피라냐 등 아시아 특유의 종들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동쪽은 오스트레일리아와 유사한 생물종이 많으며, 캥거루, 코알라, 오랑우탄 등 독특한 종들이 서식합니다. 이러한 월리스 선이 생긴 이유는 지각 판의 이동과 관련이 있는데 인도-오스트레일리아 판과 유라시아 판이 만나는 지역에서 지질학적인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생물군집이 분리되었고, 이로인해 서쪽과 동쪽의 생물종이 서로 교류 하지 못하면서 이러한 생물학적 경계가 생겼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