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
경상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참새가 진화하면 비둘기가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참새가 진화하면 비둘기가 된다는 주장은 맞지 않습니다. 우선 참새와 비둘기는 모두 조류에 속하지만 서로 다른 과에 속한 생물입니다. 이는 참새와 비둘기가 공통의 조상으로부터 분기하여 각각 다른 방향으로 진화했음을 뜻합니다. 두 종을 비교해보면 확연히 다른 신체구조적 특징과, 생태에서도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두 종이 각각의 환경에 적응하면서 독립적으로 진화해왔음을 의미합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심해에 사는 생물에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심해의 환경은 압력이 매우높고, 온도가 낮으며, 빛이 도달하지 못해 식량자원이 부족한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심해에 사는 생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강한 외부압력을 견디기 위하여 유연한 체구를 가지거나, 내부에 공기가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느린 대사율과 특수한 단백질 구조를 가짐으로써 낮은 외부온도에 적응 하여 살아갑니다. 빛이 제한된 심해에서 많은 생물들이 발광기관을 가지며, 대부분 시력 대신 다른 감각기관이 발달되어 있습니다. 심해에 사는 생물의 예시에는 귀뚜라미오징어, 심해 거미물고기, 심해 해마, 심해 불가사리, 검은 구더기 물고기 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나무늘보는 어떻게 멸종이 안된 건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나무늘보는 느린움직임을 통해 에너지를 절약하는 전략으로 오랜시간 생존해온 동물입니다. 또한 나무늘보의 털은 조류나 이끼와 비슷한 색을 가지고 있어 나무 위에서 보호색을 가지게 되어 포식자들의 눈을 피해 생존을 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나무늘보의 강력한 발톱과 유연한 신체구조는 나무를 잘 오르내리고 나무 위 생활에 특화되어 있어 지상의 포식자들로 부터 자신들을 보호 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소음이 엄청 심한 곳에 다녀온 뒤에 이명 환청???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달팽이관 내에는 유모세포가 밀집해 있는데, 이 유모세포는 소리의 진동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게됩니다. 과도한 소음은 유모세포에 물리적 스트레스를 가하므로 세포구조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손상된 유모세포는 정상적인 소리신호를 생성할 수 없게되며, 청신경으로 전달되는 전기신호가 비정상적으로 변형될수 있고 따라서 외부에서 소리가 나지 않을 때에도 소리가 들리는 등의 이명증상을 겪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고성공룡박물관 로비에 서있는 목긴 공룡이름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네발로 서있는 목이 긴 공룡은 클라멜리사우르스 입니다. 멸종된 용각류중 하나로 마멘키사우르스과에 속ㅎ하며, 몸길이는 13m, 몸무게는 6톤가량되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초식공룡이며, 쥬라기 중기에 서식했던 공룡입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몬스테라 델라시오사는 그냥 먹으면 안된다고하는데요. 그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몬스테라 델라시오사 열매는 비타민C , 식이섬유, 항산화 물질들이 풍부하여 건강에 좋은 과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열매 섭취시에 숙성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데, 숙성되지 않은 열매는 독성이 있어 섭취 시 입과 목을 자극하거나 소화불량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몬스테라 열매의 껍질은 매우 단단하고 질기기 때문에 반드시 섭취전 껍질을 제거하고 내부 과육을 드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오징어와 문어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오징어는 두족류 중에서 오징어목에 속하며, 문어는 두족류 중에서 문어목에 속하는 생물입니다 오징어는 8개의 다리와 2개의 긴 촉수를 가지고 있으며, 문어는 8개의 다리만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오징어는 길고 유선형의 몸통을 가지고 있으며, 머리부분에 큰 눈과 입을 가지고 있습니다. 문어는 둥글고 납작한 몸통을 가지고 있으며, 머리와 몸통이 일체화된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서식지와 생활양식에도 차이가 있는데, 오징어는 주로 해양의 중층에서 서시하며, 밤에 해수표면 근처로 올라와 먹이활동을 하는 야행성 생물입니다. 반면에 문어는 주로 해저의 암초나 바위 틈새, 모래 바닥에서 서식하며, 은신처를 만들어 생활합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종이라는 개념은 생물학적인 개념일까요, 사회적인 개념일까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인종이라는 개념은 주로 사회적인 개념으로 이해됩닏. 생물학적 관점에서 볼때, 인간의 유전적 다양성은 다양한 인종으로 구분할 만큼 명확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모든 인간은 99,9%의 유전자를 공유하며, 인종간의 유전적 차이는 그에 비해 굉장히 미미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 사회적인 맥락에서는 인종이란 역사적, 문화적, 정치적 요인에 의해 형성되며, 그에 따라 개인과 집단간의 정체성 형성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인종이란 생물학적이기 보다는 사회적 개념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마귀가 교미할 때 암컷이 수컷을 먹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암컷 사마귀가 교미 시, 수컷 사마귀를 잡아먹는 이유는 산란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받기 위함입니다. 동시에, 일반적으로 암컷 사마귀는 수컷사마귀의 머리부터 먹는데 이는 머리를 먼저 먹게되면 수컷 사마귀가 더 많은 사정을 해 번식 성공률이 올라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뱀이나 동물 중에도 머리가 두개로 태어나는 동물이 있나요?
샴쌍둥이가 태어나듯이 동물중에서도 신체의 일부가 붙어있거나 한몸에 머리가 두개인채로 태어나는 동물들이 있습니다. 머리가 둘달린 동물들의 사례를 포스팅 해놓은 블로그 게시글이 있어 함께 첨부드립니다. https://blog.naver.com/kimcg3519/223669294328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