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황당한 질문일까? 당연한 의문일까?
그러한 생각들은 누구나 다 할꺼 같습니다^^ ㅎㅎ명쾌한 답변이 될지 모르겠지만 몇마디 하자면..제가 생각했을때 떠오르는 영화가 두개가 있는데요! 마션과 인터스텔라입니다.마션은 우주여행이지만 아무래도 가까운 화성으로 가다보니 시간도 그대로 나이도 그대로 흘러가는데로 먹는거 같드라고요 ㅎㅎㅎ인터스텔라는 지구에 남아있는 사람들은 나이를 먹고, 우주선에서 남아있던 사람도 나이를 먹게되죠!이것은 영화상에도 나오는데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나온것으로 기억합니다.쉽게 그냥 상대성이론은 물건 사물, 시간, 공간이 같이 공존하는게 아닌 따로 볼수 있다는 머 그런 이론이라고 볼수 있죠! 그래서 시간이 흘러가도 사물과 공간을 따로 보기 때문에 나이를 안먹게 되는 ... 그래서 같은 공간이 아닌 지구에 있거나 주인공들과 다르게 한사람은 우주선에 남아있기 때문에 주인공들 빼고 다 나이를 먹게되는 ... 그런 일들이 일어난거겠죠? ㅎㅎㅎ 과학적인 이론들을 바탕으로 상상을 하여 만드는 공상과학영화이니 가능한 소재들이 아닐까 싶습니다.그리고 우주 소재는 아니지만 데몰리션맨도 있겠네요! 결국에는 우주영화에도 나오지만 우주여행 하는 기간동안에 사람을 냉동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몇십년이 걸려 다른 곳에 도착을 해도 나이를 먹지 않고 해동이 되는 거죠! 그러한 소재가 바로 데몰리션맨인데, 거기에서는 감옥이 얼음감옥이라 100년이 지났는데도 얼려 있었기 때문에 나이를 먹지 않고 젊은 나이 그대로 등장하게 되는 머 그런 영화죠! ㅎㅎ현재까지도 사람을 냉동시키는 거라든지 우주 여행하는 연구들을 많이 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날이 올 려나 모르겟네요? ㅎㅎㅎ
Q. 특허 등록을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요?
안녕하세요. 문형주 박사입니다.아이디어를 특허 낼려고 하면 보통 2~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이미지나 디자인으로 내는 디자인특허가 있고, 특허실용신안 등으로 구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그렇다면 특허 진행은 보통 특허변리사 사무소에서 진행을 하며, 아이디어를 구체적으로 특허를 받기 위해서는 아이디어에 대하여 기술적으로나 내용으로 보완한 명세서등을 작성하여야 합니다. 이렇게 해서 출원까지는 보통 짧게는 2개월에서 4개월 정도 걸립니다.이다음이 중요한데, 특허 등록이 되어야 상용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습니다.특허등록은 우선심사가 있고 보통으로 진행하는게 있는데, 우선심사는 80~100만원 가량이 추가가 됩니다.우선으로 진행시 등록까지 4개월에서 ~ 10개월정도 사이로 보시면 되고, 보통을 진행시 12개월이 넘어가야 등록 심사를 받게 됩니다.하지만 우선이든 보통이든 특허의 심사가 까다로워 등록까지 할 아이디어라면 정리를 '키프리스'에서 유사한 특허의 국내.외 유무를 판단하셔야 합니다.비용으로 보면 출원, 등록까지 300여만원이 들어갑니다.기술의 상용화는 특허가 없어도 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특허를 진행하는것은 자신의 아이디어 기술에 대하여 권리를 주장하기 위한 수단입니다. 우수한 아이디어라면 특허를 받는 것이 타당하다 봅니다.
Q. 건축물에 철근이 들어가는데 팽창과 수축을 반복할텐데 콘크리트가 균열이 가지않고 유지되나요
안녕하세요. 문형주 박사입니다.건축 구조쪽 용어보다는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철근과 콘크리트가 합쳐져서 철근콘크리트라고 부릅니다.콘크리트에는 수화열이라든지 여러가지 화학적인 반응이 있는데, 재료적으로 합쳐졌을때 갈라지지 않고 궁합이 맞는 녀석이 철근이였던거죠~그래서 철근과 콘크리트를 같이 쓰는것이구요!! 그렇게 만들어진 이 녀석은 보통 60~100년 정도의 강도를 유지하며 버텨줍니다.질문처럼 온도에 따라 팽창과 수축은 철근콘크리트에서도 발생은 합니다. 하지만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성능이 높기도 하고, 콘크리트의 재료쪽에서 서로 간극(자갈과 모래, 시멘트간의 간격(미세함)) 이 촘촘하기 때문에 팽창과 수축이 발생할때 어느정도는 영향이 있지만 크게 차이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철근콘크리트의 재료 시험 중에는 온도에 변화에 따른 철근콘크리트의 변화에 대한시험도 포함합니다.이러한 애기를 종합하자면 콘크리트는 온도 변화에 따라 팽창과 수축이 반복되도 균열이 가지 않고 오랫동안 유지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백두산과 한라산은 분화 가능성이 없는 사화산인가요?
안녕하세요. 문형주 박사입니다.백두산은 활화산입니다.기상청에 따르면 2002년부터 2006년까지 화산 활동 현상이 관측되었고,화산가스 일부 분출로 인한 식생의 고사현상이 육안으로 확인되었습니다.칼데라인 천지의 온도가 상승하였으며, 우리나라에 2.0~3.0의 잦은 지진이 계속해서 발생되고 있으며,북한에서 하는 지하 폭탄 실험이 자연재해를 더 키우는 인적재해 가능성이 대두됩니다.또한, 백두산의 경우 불의고리라 불리는 세계 3대 화산에 속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