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시인으로 박남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시인으로 박남근 전문가입니다.
박남근 전문가
이브골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2월 19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의 왕 정치가 고종이후로 없는 이유?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왕이 없어진 이유는 쉽게 말해서 나라를 잃고 식민지배를 당했으며 일본은 순종을 창덕궁에 있게 하고, 이왕이라 불렀습니다. 통치력을 잃은 순종은 926년 4월 25일에 창덕궁에서 53세로 세상을 떠나게 되었습니다. 이로써 우리 나라는 마지막 왕을 잃게 된것 입니다 . 새롭게 민주공화국이라는 정권이 들어서서 대통령제로 바뀌어 져서 그렇습니다.일본처럼 왕을 유지하고 정치는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하지 않아서 입니다.
역사
2024년 2월 19일 작성 됨
Q.
몽우라는 말의 뜻은 무엇인가요? 비와 관련된 다른 단어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몽우(夢友), 말그대로 '꿈 친구'입니다.꿈이란잠자는 동안에 깨어 있을 때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사물을 보고 듣는 정신 현상.실현하고 싶은 희망이나 이상 입니다.여기에서 각자의 생각대로 판단하시면 됩니다.오늘은 우수입니다. 濛雨명사 자욱이 오는가랑비를 말합니다 이슬비처럼요~~
역사
2024년 2월 19일 작성 됨
Q.
밤에 물을 떠서 기도 올리는 문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달밤에 기도를 올리는 것은 정안수(정화수 의 잘못된 표현)를 떠놓고 산신령이나 기타 신들에게정성을 다해 기도하는 것입니다.과거에 여인들이 간절한 마음으로 기도를 많이 했습니다
음악
2024년 2월 19일 작성 됨
Q.
가로수나 공터 학교 아파트내 아름드리 나무, 과도하게 가지를 잘라내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답변드려요가로수가 크면 좋기도 하지만시야를 가리고 그러면 나고의 위험 전기줄들의 안전을 위하여 그리고 병충해 관리의 어려움이 있습니다.나무가커서 좋은점보다 해로운 점이 많아서 과도한 가지치기를 해서라도 인간의 안전을 우선시 하는 것입니다.나무의 30 프로 이상잘라도성장기때는 1년이면 원상복귀가 됩니다.
음악
2024년 2월 17일 작성 됨
Q.
음악 전공한 사람은 기독교신자가 많은 이유라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독교라는 종교는 일단 서양 문물입니다.성악과 서양음악은 기독교를 통하여 또는 서양인에게 전파 되었습니다.자연스럽게 종교 음악과 함께 음악을 접할 기회가 많기 때문입니다.교회에가면 악기라든지 외국에서 음악을 전공한 사람들 역시 타종교보다 월등하게 많습니다..자연스럽게 교회다니면 음악을 접하여 이끌어주고 지도받게 되기 때문입니다.
역사
2024년 2월 17일 작성 됨
Q.
외국나라도 우리나라처럼 나이에 의한 선후배 문화가 강한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외국 사람들은 나이에 대한 부분이 한국만큼 철저하진 않지만 어떤 일에 대해서 먼저 들어온 사람과 나중에 들어온 사람에 대한 구분은 있고 선 후배 차이도 존재 합니다.
역사
2024년 2월 15일 작성 됨
Q.
과거에서도 본인들이 몇년도에 살았는지 알았을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예수 이전이나 예수 이전에도 알수있었습니다.AD와BC로 알 수있었고 한자문화 권은 연호가 있었습니다.그리고 단군왕검부터 단기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15일 작성 됨
Q.
고구려의 연개소문과 양만춘은 실제로 사이가 안좋았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이가 좋지 않았던 것은 분명해 보이며 추후 1차 고당전쟁을 맞이했을 때 공동의 적을 두고 관계가 비교적 회복되었다고 하겠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15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에 전통음식인 떡갈비에 역사에 대해서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장 많이 알려진 송정 떡갈비와 담양 떡갈비 입니다. 두 곳 이외에도 전라북도 군산시와 경기도 의정부시, 동두천시,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역시 각 지역 특유의 떡갈비로 알려진 지역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아는 떡이 함유된 떡갈비는 전남 지방이 원조인데, 흔히 담양군과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리가 유명합니다
역사
2024년 2월 15일 작성 됨
Q.
서체의 종류별 특징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장예술 전문가 입니다.우리나라 서체가 뛰어난 인물은 한석봉 김정희이지만 조선시대의 서예로안평대군(安平大君)강희안(姜希顔) ·김종직(金宗直) ·정난종(鄭蘭宗) ·소세양(蘇世讓) ·김구(金絿) ·성수침(成守琛) ·이황(李滉) ·양사언(楊士彦) 등이 있습니다.서체에 따른 특징은한문서체의 변천사 : 전서→예서→해서→행서→초서한문서체의 변천사 : 전서→예서→해서→행서→초서전서 : 갑골문이나 종정문등 고문에 속하는 모든 문자와 대전과 소전을 모두 가리킨다. 선의 굵기가 비슷하고 시작되는 부분과 끝 부분이 둥그스름하며, 특히 소전은 좌측과 우측이 대칭을 이루는 것이 많고 대체적으로 세로를 길게 쓰며 정중하고 경건한 문자이다.예서 : 서사기록에 불편함과 비능률적이여 곡선을 직선으로 바꾸고 필사에 편리하게 하고 사무능률을 올리기 위하여 생긴 서체. 해서 : 일반 상용의 자체를 쓰려면 불편하였기에 자연히 자체의 간화(簡化)의 필요성이 요구되면서 해서가 생겨 예서를 대신하게 되었다. 행서 : 예서의 자획을 장초(章草)의 필법으로 쓴 것.초서 : 획이 균일하지 않고 대소, 태세, 장단의 조화가 변화무쌍하고 직선과 곡선의 조형의 아름다움이 초서의 매력이라고 할 수 있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첨부ㅡ 사진으로 보면 쉽게 이해 할 수 있습니다.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