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시인으로 박남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시인으로 박남근 전문가입니다.

박남근 전문가
이브골드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의 향리는 어느정도의 관직이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 지방출신 으로 대대로 내려온 아전을 향리라 합니다 이들은 품계도 없고 승진도 없으며 녹봉도 없었습니다.지방관을 보좌했으니 일종의 자치 단체로서, 지역 사회의 일상적인 사항을 관리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주관적 판단은 마을 이장이나 통장 정도가 아닐까 생각됩니다.관청에 공무원 아닌 비정규직 임시직 일용직 정도​​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족이라는 이름은 어디서 탄생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실 대한민국 사람도 조선족 이라해도 이상하지 않습니다. 조선족은 1860년대 한반도 북부에서 자연재해를 피해 압록강, 두만강을 건너 만주지역에 정착한 한인이 그 기원입니다. 중국 학계에 따르면, 조선족은 중국 55개 소수민족 중 비교적 최근 시기에 국경을 넘어 중국에 정착하게 된 과계 혹은 과경민족이라 합니다.중국에서 우리민족을 조선족이라 합니다.재미동포처럼 재중동포라고 하면 어떨까 생각도 해보았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세종대왕이 한글을 다 만들었다고 하던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글 창제 하신분은 대표적으로 세상대왕이 맞습니다.그러나 집현전 학자들을 통하여 만들어 낸건 사실이라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유레카 라는 말의 유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시자성어 ‘유레카’의 유래기원전 3세기경. 어느 날, 그리스의 자연 과학자 아르키메데스는 왕에게서 새 왕관이 순금으로 만들어졌는지 확인하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왕관을 뜨거운 불로 녹여 보면 순금인지 아닌지 금세 알 수 있었지만, 왕이 원하는 것은 왕관을 망가뜨리지 않고 밝혀내는 것이었습니다“어떻게 해야 순금인지 아닌지 밝혀낼 수 있을까?”아르키메데스는 하루 종일 그 생각을 하느라 밥도 제대로 먹을 수 없었어요. 너무나 피곤했던 아르키메데스는 커다란 나무통에 뜨거운 물을 받아 놓고 목욕을 하기로 했습니다.뜨끈한 물속에 몸을 푹 담그자, 나무통 밖으로 물이 흘러넘쳐 바닥이 온통 물바다가 되었지요. 그 모습을 본 순간, 아르키메데스의 머리에 어떤 생각이 떠올랐습니다“유레카! 유레카!”아르키메데스는 벌거벗은 채 나무통을 빠져나와 거리로 뛰어나갔어요. ‘유레카’란 ‘발견했다.’라는 뜻으로, 왕관이 순금인지 밝혀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는 것 이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마중지봉은 무슨뚯인가요? 마중지봉 이라고 했어 좋은 친구를 가려 사귀어야해 여기서 마중지봉은 어떤 뜻안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 사자성어에 답변자와 같이 좋아 하시는갓 같습니다.삼 밭에서 자라는 쑥이 붙들어 주지 않아도 곧게 자라듯 사람도 주위환경에 따라 선악이 다르게 될 수 있음을 뜻하는 사자성어 입니다.麻:삼 마中:가운데 중之:갈·어조사 지蓬:쑥 봉
1761771781791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