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연금저축 연말정산 세금 공제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박두성 보험전문가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연말정산되는 상품에 관심이 많으신걸 보니 직장인 기준으로 말씀드리며, 종합소득신고자의 경우엔 조금 차이가 날수 있습니다.세액공제 혜택을 볼수 있는 상품은 알고계시는 바와 같이 연금저축과 IRP계좌가 있습니다.연금저축은 50세미만이고 연봉 5,500만원이하의 경우 년간 400만원 납입한도로 납입금액의 16.5%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즉 연간 66만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한거죠. 물론 중도해지시 공제받은 부분에 대해 다시 환급해야되는 부분이 있습니다.IRP계좌는 연간 1,800만원까지 납입이 가능하나, 세액공제는 연금저축포함 700만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이 주어집니다.연금저축은 돈이 필요할경우 중도에 인출할수 있는 기능이 있으나, IRP계좌의 경우엔 특별한 사유 없이는 불가합니다.따라서, 연금저축을 우선적으로 연간 400만원 납입하고, 나머지 금액을 IRP계좌에 납입하는 것이 좋을것으로 판단됩니다.상품은 각 금융기관을 통해 가입가능하나, 약간의 손실을 감수하고도 수익성을 고려한다면 투자형 상품으로 안정성을 고려한다면 보험이나 저축형 상품으로 가입하시길 추천드립니다.좀더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가입하길 권유드립니다.
Q. 실비는 몇살때까지 유지하는게 가장 효과적일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박두성 보험전문가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 질문자님이 갖고 계신 상품이 흥국화재 건강종합보험으로 예측됩니다.질문자님이 적어주신 갱신형특약들이 실손보험 부분입니다. 아마도 그당시 가입이면 5년 또는 3년갱신형으로 가입하셨을거 같습니다.2009년도 가입한 건이라면 실손보장부분은 상당히 좋은 보장내용입니다.현재는 1년갱신형으로 밖에 가입할수 없으며, 보장한도도 통원치료의 경우 1일 25만원한도 및 공제 1만원으로 보장면에서도 갖고계신 보장보다 적습니다.실손보험은 보험사들이 손해율이 높아서 점차적으로 보장내용을 줄여나가는 상황입니다.걱정하신바와 같이 60~70대엔 훨씬더 많은 보험료부담이 될수 있습니다. 최근 이런부분을 고려하여 실손보험중에서도 보험료 부담이 큰 비급여부분, MRI, 도수치료등을 별도의특약형태로 가입할수 있는 착한실손이란 보험도 나와 있습니다. 향후 보험료 부담이 커질경우 이러한 상품으로실손보험은 바꾸는걸 검토하시고, 중대질병이나 수술등에 대비한 보험상품을 가입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현재로써는 기존 실손보험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할것으로 저는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