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나노 소재가 전기전자 재료에 미치는 영향은?
안녕하세요. 박두현 전문가입니다.나노 소재가 전기전자 재료에 미치는 영향중 첫번째는 전기적 특성에서 나노소재는 전도성이나 반도체 특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습니다 나노 크기의 금속이나 반도체 재료는 전자이동이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속 전자 소자나 저전력 소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 나노와이어나 그래핀과 같은 나노소재는 높은 전도성을 제공하며 이는 전자기기의 빠른 연산속도나 효율적인 전력소모를 가능하게 합니다 두번째로 열적 특성에서도 나노소재는 뛰어난 성능을 발휘합니다 나노소재는 열전도성이 우수하거나 열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성질을 가질 수 있어, 전자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관리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 고성능 반도체 소자나 LED조명에서 나노소재를 활용하면 열 손실을 줄이고 소자의수명을 연장할 수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나노소재는 전기전자재료에서 전기적, 열적, 광학적 성질을 개선시켜서 소자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고소형화 및 고속화, 에너지효율성을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합니다
Q. 에너지 하베스팅이 무엇이고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박두현 전문가입니다.에너지 하베스팅은 주변환경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수집해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기술로, 외부전력공급없이 전자기기를 구동할 수 있는 방안입니다 주요에너지원으로는 진동이나 압력을 활용하는 기계적 에너지, 온도차를 이용하는 열 에너지, 햇빛과 인공조명을 활용하는 광에너지, 무선 신호를 수집하는 전자기에너지가있습니다이 기술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물인터넷 센서 , 자율주행차, 스마트 시티 등에서 활용가능하며 배터리교체가 어려운 소형 장치에서 효율적인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를 통해서 지속가능한 에너지활용화 친환경 시스템 구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Q. 차세대 메모리 소자의 개발 방향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박두현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앞으로 차세대 메모리 소자의 개발은 고성능,저전력,고집적화를중심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존의 DRAM가 NAND플래시기술을 발전시키는 동시에 새로운원리를 기반으로 한 메모리 소자의상용화가 주요 목표가 될 것입니다 특히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로 주목받는 PRAM,ReRAM,MRAM등은 데이터 저장속도와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기존 메모리의 한계를 보완할 기술로 개발이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메모리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시대의 요구를충족할 수 있는 초고속 데이터 처리와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3D적층 기술과 고집적화를 통해 메모리 용량을 대폭늘리고 차세대 리소그래피와 같은 첨단 공정을 활용해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를 통해서 한국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며 데이터 중심 산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지속적으로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