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보통 전기기사를 준비하시거나 합겨하신 분들께서 봤을 때 필기시험과 실기시험 중 어느 시험이 더 난이도가 높나요??
안녕하세요. 박병건 전기기능사입니다.저의 경우에는 전기기능사, 전기산업기사를 취득한 상태입니다. 물론 전기기사 시험도 도전해 보았습니다.특이사항으로는 저의 경우 전기산업기사와 전기기사를 동시에 응시하였는데요 필기의 경우 전기산업기사, 전기기사 60점이상으로 1번에 합격하였습니다.필기의 경우에도 회차 마다 틀릴수도 있겠지만 전기기사가 좀 더 난이도가 있었습니다.(4-5점 차이가 날정도)실기의 경우에 전기산업기사는 62점, 전기기사는 40점 정도 맞은 것으로 기억이 납니다.가끔 인터넷에 전기기사가 쉽다고 하시는 분들도 계시는데 간혹 난이도 실패할 경우나 인력수급 문제로 그런 경우가 있다고 하는 경우를 들었습니다.중요한 것은 난이도의 차이이지 공부 내용은 동일하기에 동시에 준비하셔서 대비하시면 좋은 결과를 얻으실 듯 합니다.감사합니다.
Q. 페인트 색깔을 만드는것은 화학적인 반응은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박병건 전문가입니다.페인트는 색을 입히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로 색소, 바인더, 용제, 첨가제로 구성이됩니다. 색소는 페인트의 색깔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바인더는 색소를 고정시키고 표면에 부착되도록 돕습니다. 페인트 색깔의 화학적원리페인트의 색깔은 주로 색소의 화학구조에 의해 결정됩니다. 색소는 특정 파장의 빛을 흡스하고 나머지 파장을 반하사여 우리가 인식하는 색깔을 만들어 냅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 색소는 파란색과 초록색의 빛을 흡수하고 빨간색 빛만 반사합니다. 이러한 원리는 색소의 분자 구조와 관련이 깊습니다.주요 화학반응페인트의 색깔을 만드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하학 반응이 일어납니다. 가장 일반적인 반응 중 하나는 색소의 합성입니다. 색소는 다양한 화학물질이 결합하여 형성되며, 이 과정에서 화학 결합이 형성되거나 반응이 발생합니다.
Q. 알루미늄 호일 위에 얼음을 놓으면 빨리 녹는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병건 전문가입니다.알루미늄 호일 위에 얼음을 놓으면 얼음이 빨리 녹는 이유는 알루미늄의 열전도율이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열전도율이란 물질이 열을 전달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알루미늄은 열을 매우 잘 전달하는 금속으로, 얼음이 알루미늄 호일 위에 놓이면 호일이 얼음의 열을 빠르게 흡수하여 얼음을 녹입니다. 즉, 얼음은 주변 온도와 열을 교환하면서 온도가 상승하고, 결국 녹게 됩니다. 알루미늄 호일은 열을 빠르게 전달하기 때문에, 얼음이 놓인 표면과 빠르게 열을 교환하여 녹는 속도가 빨라집니다.반대로, 다른 재질들은 알루미늄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아 얼음이 상대적으로 천천히 녹게 됩니다. 예를 들어, 나무나 플라스틱은 열전도율이 낮아 얼음을 더 천천히 녹이게 됩니다.
전기기사·기능사
Q. 눈이 오는 요즈음 전기설비는 어떤 관리가 필요하나요?
안녕하세요. 박병건 전기기능사입니다.현재 빌딩에서 관리소장과, 시설관리팀장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보통 전기라고 하면 물은 액체이며 전기가 흐르는 매개체게가되기에 관리적인 측면에서 신경이 쓰이는것은 사실입니다.하지만 대부분의 전기설비는 물과 차단된 공간 지하나 실내에 수변전실이나 세대는 분전함 형식으로 절연 케이스에서 관리되기에 크게 물과 접촉될 확율은 낮습니다.그리고 외부에 설치된 수변전설비나 차량 충전기에 대해 관리상 궁금해 하실수 있는데요, 일단 수변전설비를 보관하는 큐비클은 외부의 물과 습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전기자동차 설비의 경우에도 충전기와 차량 충전도체까지 절연이 잘 되어 있기에 눈이나 비가와도 크게 관리상의 특이사항은 없습니다. 다만, 분전함이나 큐비클이 반드시 닫혀있어야 하며 인위적으로 물과 접촉시키지 않는 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크게 문제가 없다는 것을 알려드립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