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체체파리는 감염병을 옮기는 '동물'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체체파리는 파리목 집파릿과에 속한 아프리카산 흡혈성 파리를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몸은 집파리보다 조금 크고 검으며, 사람이나 짐승의 피를 빤다. 사람에게는 수면병(睡眠病), 가축에게는 나가나병을 감염시키는 병원체인 트리파노소마를 옮기는 중간 숙주이다.체체파리의 분류는 아래와 같습니다.계: 동물계 (Animalia)문: 절지동물문 (Arthropoda)강: 무척추동물강 (Uniramia)강: 무날개강 (Apterygota)강: 쌍날개강 (Diptera)과: 집파릿과 (Hippoboscidae)속: 체체파리속 (Glossina)아과: 체체파리아과 (Glossinidae)족: 아문족 (Amatidae)체체파리는 집파릿과(Hippoboscidae)에 속하는 파리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라 아문족(Amatidae)에 속하는 것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체체파리속은 이 아과에 속하며, 체체파리아과와 함께 체체파리라는 일반적인 이름으로 불립니다.
Q. 오존층이 어떤 방식으로 자외선을 차단해주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오존층은 자외선을 차단하는데 다음과 같은 방식들로 작용합니다:흡수: 오존층은 대기 상단에 위치하며, 자외선 B (UVB)와 자외선 C (UVC)를 흡수하여 안전하게 대기로 돌려보냅니다. 이는 지구 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 B와 C의 양을 줄이는 역할을 수행합니다.산화: 오존은 자외선 A (UVA)를 흡수하여 산화되는 반응을 일으킵니다. 오존 분자가 자외선 A를 흡수하면서 자외선 A를 안전하게 흡수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차단: 오존층은 자외선 B와 C를 흡수하고 산화시키면서 지구 표면으로의 도달을 차단합니다. 이로써 오존층은 지구 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 B와 C의 양을 제한하여, 자외선에 노출된 생물체들을 보호합니다.이러한 오존층의 흡수, 산화, 차단 등의 작용들은 자외선을 대기 상층에 흡수하고, 지구 표면에 도달하는 양을 제한하여 인간 및 동물의 피부와 눈을 포함한 생물체들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오존층의 파괴는 자외선의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이로 인한 문제들은 환경 및 건강에 대한 중요한 이슈로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Q. 쥐도 종류(?) 혹은 종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쥐는 동물의 과 중 하나인 설치과(Muridae)에 속하는 작은 포유동물입니다. 설치과는 설치상과(Muroidea)라는 큰 상과에 속하며, 다양한 종류의 설치류 동물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쥐는 설치과 중에서도 설치아과(Murinae)에 속하는데, 이 아과에는 수많은 종의 쥐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쥐의 분류는 계층적인 분류 체계인 분류학(taxonomy)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계(kingdom): 동물(Animalia)문(Phylum): 척추동물(Chordata)강(Class): 포유강(Mammalia)목(Order): 설치목(Rodentia)과(Family): 설치과(Muridae)아과(Subfamily): 설치아과(Murinae)속(Genus): 쥐속(Mus)종(Species): 다양한 종의 쥐들이 있으며, 예를 들면 하늘쥐(Mus musculus), 갈색쥐(Mus spretus), 등이 있습니다.이와 같이 쥐의 분류는 상위 분류부터 하위 분류까지 계층적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분류학은 생물들을 과학적으로 분류하고 명명하는 체계이며, 생물의 계통적인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Q. 거울은 어떤 원리로 만드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거울은 빛의 반사에 기초한 광학적 장치로, 빛이 표면에 부딪혀 반사되어 온전한 빛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반사의 법칙에 따라 동작합니다.거울의 원리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빛의 직진성: 빛은 직진으로 진행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거울에 빛이 닿으면, 빛은 직진으로 진행하다가 거울의 표면에 닿게 됩니다.반사의 법칙: 반사의 법칙은 빛이 표면에 닿았을 때, 표면에서 반사되는 각도와 입사되는 각도가 같다는 원리입니다. 이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입사각(i)과 반사각(r)이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i = r거울의 표면: 거울은 매끈하게 광택이 나는 표면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표면은 빛이 거울 표면에 닿았을 때, 빛의 원래 방향과 반대로 반사되도록 합니다.따라서, 거울에 빛이 닿으면 빛은 표면에서 반사되어 다시 나가게 되며, 반사된 빛은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반사된 빛이 우리 눈에 도달하여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 거울의 원리입니다. 우리가 거울에서 본 이미지는 실제 물체의 반사된 빛이 우리 눈에 도달한 것이므로 거울 이미지는 실제 물체와 동일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