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재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재민 전문가입니다.

박재민 전문가
정안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전기설비계통에서 변압기를 병렬연결을 하여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용량이 부족하다고 하면 그냥 용량이 큰 변압기를 사용하면 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변압기를 병렬연결하는 이유는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고 시스템의 유연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하지만 변압기의 단락 회로 전류가 증가하고 필요한 차단기 용량이 증가하며 부하 용량을 줄이고 손실을 증가시키는 순환 전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오로라는 어느 나라에서 제일 쉽게 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오로라는 북극과 남극 지역에서 볼 수 있습니다. 북극에서는 캐나다, 노르웨이, 핀란드 등에서 볼 수 있고, 남극에서는 아르헨티나, 칠레 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업사이클과 리사이클은 무슨 차이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리사이클링은 사용한 재료를 가져다가 새롭고 유사한 제품으로 바꾸는 과정을 말하며, 업사이클링은 사용한 재료를 가져와 새롭고 질 높은 제품으로 바꾸는 과정을 말합니다. 리사이클링은 폐기물을 줄이고 천연자원을 보존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업사이클링은 폐기물을 줄이는 것뿐만 아니라, 버려진 물질로부터 새롭고 더 가치 있는 제품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온도에 따라 변하는 시온 잉크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시온잉크는 주로 변하기 쉬운 유기화합물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며, 성분의 내용이나 결합방식에 변화를 주면 온도가 올라가거나 내려갈 경우, 없던 색깔이 나타나거나 반대로 있던 색깔이 사라지게 할 수 있으며, 노란색에서 파란색으로 바뀌는 것처럼 색상변화까지 시도할 수 있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고로쇠나무와 같은 수액들은 어떻게해서 생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고로쇠나무에서 수액이 나오는 원리는 나무가 추운 날씨 동안 물을 비축하고 기온이 올라가면 가지로 보내는데 이때 수액을 채취하게 됩니다. 고로쇠나무 수액은 나무의 1m 정도 높이에 채취용 드릴로 구멍을 내어 호스를 꽂아 흘러내리는 수액을 받습니다. 수액은 나무 내부의 압력이 높아진 상태에서 나무 표면에 구멍이 나면 그 사이로 수액이 흘러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우리나라는 왜 220v 전압을 사용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 220V를 사용하는 이유는 경제성과 안정성 등 장단점을 놓고 우선순위를 따진 것입니다. 220V는 110V에 비해 전력손실이 적다는 면에서 경제적이며 약 15%의 절전효과가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이 부분을 중시한 결과 현재 우리나라는 220V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에서 제일 먼저 생긴 은하계는 어떤 은하계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에서 가장 오래된 은하계는 GN-z13이라는 135억년 된 은하계입니다. 이 은하는 빅뱅 이후 3억년 만에 형성됐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혜성은 왜 긴꼬리를 가지고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혜성의 꼬리는 혜성이 태양 가까이에 가면 코마의 물질이 태양빛과 태양에서 날아오는 입자에 의해 뒤로 밀려 나가는 꼬리를 형성하며, 이온 꼬리와 먼지 꼬리로 나뉘며 이온 꼬리는 푸른빛으로 태양 반대 방향을 가리키며 분자와 전자가 이온화되어 나타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금속 도금기술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도금은 전기를 이용하여 도금하는 방법이 일반적입니다. 전기 도금의 원리는 AC전기를 DC로 바꾸어 플러스 극과 마이너스 극을 충돌시켜 전기의 힘을 이용하여 수중, 약품 속에서 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바탕이 되는 금속을 음극에 놓고 이를 표면에 입히는 금속 전해질이 있는 용액에 넣습니다. 양극이 표면에 입히는 금속이 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파리는 왜 잘못했다고 손바닥을 자꾸 비비나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파리에 손에는 끈적끈적한 물질이 묻어 있습니다. 손을 비비는 것은 벽이나 기타 물건에 붙었을 때 잘 붙어있기 위해 필요한 행동이라고 합니다. 파리의 다리에는 냄새감각기관인 '올팩터’가 많이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에 맡았던 향이나 음식물들이 축적되어 있으면 감각이 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파리는 다리를 마구 비비면서 다리에 붙어있는 오물을 털어내고 냄새나 맛을 더욱 잘 느끼기 위해 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