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재석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재석 전문가입니다.
박재석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미술
2022년 12월 7일 작성 됨
Q.
개풀 뜯어 먹는소리하네 이런말이 있는데 개가 풀을 먹나요?
안녕하세요. 박재석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무리 배고파도 개는 풀을 뜯어 먹지 않는데요, 개가 풀을 뜯어 먹는 소리라는건 세상 말도 안되는 이야기, 되도 않는 이야기라고 할때 비유적으로 말하는 말입니다.
역사
2022년 12월 7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의 녹십자.적십자 이런게 있는데 차이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재석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적십자는 전쟁시 구호목적으로 창립된 단체이고, 녹십자는 지구환경 보호목적으로 창립된 단체입니다. 그와는 별개로 국내의 제약회사인 녹십자가 있습니다.
음악
2022년 12월 5일 작성 됨
Q.
동지에는 잡귀를 쫒으려 팥죽을 먹는데, 귀신은 왜 팥을 싫어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재석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예로부터 붉은색의 팥은 태양을 상징하는 양의 기운이 있다고 믿어져 왔기 때문에 집안 구석 구석 팥을 뿌려 음기의 귀신을 양기로 물리칠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리고 팥죽을 먹음으로서 안좋은 기운을 없앤다고 생각했습니다. 물론 미신이긴 합니다.
역사
2022년 12월 5일 작성 됨
Q.
경상도는 김장김치에 생조기를 넣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재석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치에 지역마다 여러가지를 넣기는 합니다만물고기를 통채로 넣는것은 젖갈을 대신하여 넣는것입니다. 젖갈은 김치의 숙성을 촉진하고 감칠맛을 내는데요,젖갈 보다 상대적으로 구하기 쉬운 물고기를 넣는게 계속 이어진 것입니다. 바다 물고기를 얻기 어려운 지역에서는 민물고기를 넣어 만들었다는 기록도 있으니 조기나 갈치를 넣는것은 지역적으로 가능한 유래가 아닐까 합니다.
역사
2022년 12월 5일 작성 됨
Q.
무라카미 하루키와 같은 소설가는 소설을 쓰는데 얼마나 시간이 걸리나요?
안녕하세요. 박재석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설을 쓰는데에는 많은 시간과 공이 들어간다고 합니다. 작가마다 다르겠지만 기본적인 스토리의 뼈대만들기와 조사및 취재까지 합치고 글쓰는 시간까지 재본다면 몇년이 걸리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글쓰기를 본업으로 하시는분들은 모든 생활이 글쓰기를 한다고 생각했을때 신작이 나오는 텀을 보면 대략 계산이 될듯합니다.
역사
2022년 12월 3일 작성 됨
Q.
조선왕조에 왕들의 이름이 종 과 조로 나뉘는 기준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재석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나라를 건국한 왕은 조왕조를 유지한 왕은 종 입니다그러나 이건 잘 지켜지지 않았고새로운 왕조다 혹은 높이고 싶은 왕이다 하며 종을 조로올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역사
2022년 12월 3일 작성 됨
Q.
고속도로 달립니다. 무작정 가면 부산일것 같습니다. 부산에 가볼만한곳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재석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산에 간절곶 안가보셨다면 한번 가보세요. 드라이브 하기좋고 시원한 바다경치가 있는곳입니다. 여행 잘 하셔서 리프레쉬 하시기 바랍니다.
미술
2022년 8월 4일 작성 됨
Q.
NFT는 예술적 가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재석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NFT가 어떤것인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미술 작품이나 프로젝트나 누구나 갖고 싶은 형태로의 상품으로 출시를 하는 편입니다. 물론 예술적 가치도 있지만 투자적 가치도 있습니다. NFT의 예술적 가치는 미적으로 작품성이 있어 소장하려는 수요의 가치가 있겠고, 해당 작품의 발행량및 유틸리티성, 홀더혜택등의 가치로 인해 투자의 가치도 있습니다
미술
2022년 7월 26일 작성 됨
Q.
방송에서는 문신을 모자이크하거나 가릴까요?
안녕하세요. 박재석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요즈음 문신은 패션의 일부로 생각하기도 하고,크던 작던 문신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만,예전에는 문신을 하는 사람도 거의 없었고 조폭같은 집단에서 위화감을 조성하려고 하는것이 문신 이었습니다. 인식이 예전부터 굳어져 온것도 있고, 많은 문신을 한 사람들은 어느정도 위화감을 조성하는것이 사실이기에 공공 성격을 띈 방송같은 곳에는 가리고 나오는 것입니다.
음악
2022년 4월 12일 작성 됨
Q.
음악에서 DJ들이 말하는 Bpm 이 뭔가요?
안녕하세요.질문자 분이 말씀하신것 처럼 템포를 나타내는 단위가 맞습니다.BPM은 Beat Per Minute의 약자로 분당 몇 비트의 템포로 연주가 되는가 하는것 입니다예를들어 60BPM 이라하면 분당 60비트로 1초당 1비트의 템포구요더 쪼개서 BPM이 높아지면 음악이 빨라지고 BPM이 낮으면 느린 음악이 되는것입니다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