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박주찬 전문가
프리랜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반려동물
학문
반려동물 훈련
2025년 2월 11일 작성 됨
Q.
고양이 6개월여아(중성화완료) 3개월 여아 합사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서로 싸우지 말하는다면 합사가 잘 되고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혹시 두 마리 중 한 마리가 수컷인 경우에는 다른 과외가 들어옴으로써 굉장히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 닥풀상판강염이나 하부 요로기계 질환에 걸릴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5년 2월 11일 작성 됨
Q.
고양이의 혀가 사포처럼 까끌거리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고양이는 육식동물이지만 상대적으로 턱의 관절이나 근육이 늑대 동물인 강아지와는 발달이 상대적으로 약합니다 늑대나 개과동물의 경우는 진화론적으로 뼈를 씹어먹을 정도로 턱뼈나 턱 근육과 관절이 발달되어 있지만 고양이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혀의 까끌까끌한 구조물로 뼈에 붙어 있는 고기를 효율적으로 남김없이 핥아먹기 위해 진화된 동물입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5년 2월 11일 작성 됨
Q.
반려동물도 추위를 타게 되나요? 그리고 감기도 걸리나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아무리 털이 많아도 노르웨이 숲이나 사모예드 정도의 저를 가진 동물이 아닌 이상 소형견이나 반려묘는 크기가 작아 체표 면적이 외부와 받는 면이 사람보다 많으므로 추위는 사람보다 더 많이 탑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5년 2월 11일 작성 됨
Q.
노령견 발작후에 계속 돌아다니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발작을 이렇게 하는 경우는 정확히 진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MRI 촬영이 지시 되지만 나이가 스무 살 노론 견을 엠알아이 촬영을 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맞지 않은 부분이 있습니다. 가늠적으로 또는 일 회성으로 노령이 많은 강아지들은 격려를 할 수 있지만 반복되는 경우 동물병원 가셔서 이러한 경련이 뇌나 신경 때문에 의한 경련인지 아니면 심장 때문에 생긴 부정맥으로 인한 실신인지 진료를 받아보시고 필요한 치료를 하셔서 동물의 삶의 질을 조금 개선시켜주는 방향으로 치료를 하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5년 2월 11일 작성 됨
Q.
강아지 담낭 한번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슬로지어도 다 수술하는 것이 아닙니다. 초음파나 혈액 검사 등으로 확실하게 탐랑 전액 좀 이 진단이 되는 경우에는 수술적인 담낭 제거술이 지시됩니다
반려동물 훈련
2025년 2월 11일 작성 됨
Q.
고양이 합사 궁금해요ㅠㅠ 첫째가 둘째를 장난감으로 아는걸까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장난감까지는 언니지만 다른 고양이들이 들어오게 되면 자기들끼리 서열 정리를 하게 됩니다 그런 행동으로 인해 서열이 정리되면 서로 같이 놀거나 돈은 좀 더 서열이 높은 고양이 가설이 낮은 고양이를 그루밍 해주는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5년 2월 11일 작성 됨
Q.
강아지가 간식을 그냥 삼켰는데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간식이 식도 중간에 막히는 경우는 강아지가 구토노호 교정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게 아니라면 사람처럼 체하거나 그럴 수 있지만 밥도 잘 먹고 특이사항 없는 경우는 지켜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반려동물 훈련
2025년 2월 11일 작성 됨
Q.
강아지 울타리없이 키우는게좋나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보호자분께서 빈번한 외출이나 잠깐 배변 훈련을 하기 위해서는 울타리를 해놓고 키우시는 것이 효과적이긴 하지만 울타리를 해 놓으면 사회화가 결려되거나 활동량이 줄어서 체중이 늘어나기 쉽습니다
반려동물 훈련
2025년 2월 11일 작성 됨
Q.
강아지 개인기 훈련시키는 법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앉아 하이파이브 정도만 하더라도 훌륭한 강아지인것 같습니다. 이런 훈련을 하고자 한다면 꾸준히 반복적으로 훈련과 적절한 보상을 하신다면 언젠가는 할 것 같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5년 2월 10일 작성 됨
Q.
고양이의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는 신호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건강 상태를 간접적으로 알려주는 지표는 굉장히 많습니다. 우선 털에 윤기가 없는 경우는 건강 신호의 적신호일 수도 있고 그것 외에 변의 상태나 잇몸을 봤을 때도 분홍색의 점막 색깔이 보이지 않고 하얗거나 누런 경우는 건강 신호의 적신호입니다 또한 밥을 잘 먹지 않는 것도 건강 신호의 적신이겠네요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