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지훈 전문가입니다. 생물 과학분야 전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지훈 전문가입니다. 생물 과학분야 전문입니다.
박지훈 전문가
지큐티코리아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2년 11월 10일 작성 됨
Q.
탈모도 유전이 될수가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지훈 과학전문가입니다.탈모의 가장 큰 원인은 유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그 이외 이유를 Sporadic한 탈모라고 표현하는데이 원인은 너무나도 다양하고 방대해서 일일이 열거하기 힘듭니다.비 유전성 탈모의 원인으로 잘 알려진것은 스트레스 입니다.가장 원인은 유전이라 보시면 됩니다.
생물·생명
2022년 11월 10일 작성 됨
Q.
강가나 냇가의 물고기는 왜 뛰어오를까요?
안녕하세요. 박지훈 과학전문가입니다.가장 많은 정설로 알려지는 부분은 해당 물고기의 먹이 사냥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아래서 위로 먹이를 향해 헤엄치다가 속도를 이기지 못하고 물 밖으로 튀어 올라오는 것입니다.이따금 호흡을 위해 올라오는 물고기 종류가 있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2022년 11월 10일 작성 됨
Q.
한국에서 살던 공룡도 있나요?
안녕하세요.한국에 살던 공룡은 당연히 있습니다.지구상에 판게아 이동에 따라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에 걸친 공룡의 시대 전반에 걸쳐해당 시대에 육지였던 부분에서 공룡이 서식하지 않은 곳은 없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사실 유적으로 나오지는 않았지만 실제 서식지는 훨씬 방대하고 지구 전역에 걸친곳 이었다는 이야기지요한국은 경상남도 고성에서 공룡 관련 화석도 많이 발견되고 서식의 증거가 되는 자료가 많습니다.경남에서는 해마다 공룡 축제도 열리고 있습니다.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8월 26일 작성 됨
Q.
비행기는 왜 북극항로로 이동 할까요?
일단 모든 케이스에 있어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경로로 가는것은 아님을 알려드립니다.미국으로 가는 항로중에 태평양을 가로질러 가는 것과 북극 항로로 가는 두 가지가 있을텐데요북극 항로로 가는게 조금더 단거리인 경우이거나 바다로만 날아가야 하는 경로가사고시 더 생존확률이 낮아 땅이 있는곳으로 항로를 짤때 북극으로 갑니다.이건 국가간의 정세나 상황에 따라서도 바뀌기도 합니다.
화학
2022년 8월 25일 작성 됨
Q.
위액과 음식물이 섞이면 중성이 되나요?
위액과 음식물이 섞이면 보통 음식물이 산성화가 된다고 봐야합니다.산도를 측정하는 단위인 pH는 7이하일때 산성, 7 이상일때 염기성인데 위액은 2보다 낮습니다.그래서 어떤음식을 먹든지 산성으로 만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8월 10일 작성 됨
Q.
구름은 거대한 수증기 인가요?
공기중에는 습도에 비례하여 수분이 많이 있습니다.그리고 기류가 상승기류에서 보통 구름이 많이 하늘에 뜨게 되는데요여름에 열을 식히라고 뿜는 Fog 시설을 봐도수증기이지만 매우 작은 입자로 뿌리기 때문에 때론그 수증기가 상승하는 것을 보신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그렇게 상승기류에 의해 떠있던 수증기가대기의 불안정과 응축 그리고 비의 씨앗이 되는 먼지등이 만나 응결되어비가되어 내립니다.
토목공학
2022년 8월 10일 작성 됨
Q.
이번 서울홍수피해를 내년에 예방하려면 과학적으로 어떤 대책이 필요한가요?
급격하게 불어나는 물을 모두 저장하여 배출 할 수 있는지하 공동시설이 필요합니다.해외에서는 이런 시설을 도시계획 단계에서 지하에 구성하여 설계를 하기도 합니다.일본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겠네요내진 설계와 함께 지하 공동시설을 설계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8월 10일 작성 됨
Q.
비내리고 햇살이 비치는 각도를 보면 분명 가까이 있는것 같은데.. 태양이 멀리있는거 맞나요?
그것은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서 입니다.기울어 있는 상태로 자전을 하기 때문에황도 즉 태양의 움직임은 기울어진 한쪽에서 떠올라기울어진 한쪽으로 지게 됩니다.따라서 황도 자체가 기울어 있기 때문에 기울어져 있는 상태로 태양의 빛이 도달하게 되지요가령 수직으로 황도가 지나가는 적도부근은정오시간엔 수직으로 빛이 내려쬐이게됩니다.
화학공학
2022년 8월 10일 작성 됨
Q.
비누의 세정기능이 계면활성제의 역활이라는데
계면활성제는 대부분이 bipathic(양친성)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이것은 한쪽은 친수성, 다른 한쪽은 소수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어떤 물질이 양친성을 가지고 있으면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않는 물질을섞이게 만들어줍니다.물은 친수성이고 기름은 소수성이기 때문에 이 계면활성제가 둘을 섞이게 합니다.계면 활성제란 용어 자체가 이런 물기름의 경계면을 활성화 한단 이야기지요따라서 경계면을 섞이게 만든 뒤 물리적 힘을 가해주면(세탁기 처럼) 둘이 섞여기름때가 벗겨져 물과함께 씻겨나가는 원리입니다.세균의 지질막 역시 소수성부분과 결합하고 물이 친수성과 결합하여물리적 자극에 의해 세균의 막이 용혈되는것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2년 8월 10일 작성 됨
Q.
사막에서는 음식물들이 부패하지 않고 미이라 형태로 발견되는데 왜 썩지 않나요 궁금해요
부패의 원인은 보통 박테리아의 영향이 있습니다.박테리아가 서식하기 좋은 조건은 수분이 충분하고영양상태가 충분한 상황이지요사막은 수분이 매우 부족한 상황이라 박테리아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이 아닙니다.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