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과학 및 방위산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과학 및 방위산업 전문가입니다.
전진호 전문가
방위산업체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12일 작성 됨
Q.
대륙붕이 해역싸움에 거론될정도로 중요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대륙붕은 해저의 깊이가 완만하게 깊어지는 지역(~ 수심 약 240미터)으로 대륙붕에는 풍부한 수산자원과 지하자원 등이 대부분 대륙붕 지역에 분포하고 있어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입니다. 그래서 대륙붕 지역을 더 확보하기 위해 인공섬을 구축하기도 합니다. 경제적인 잇점이 많아 국가들 간의 확장 경쟁이 일어나는 지역입니다. 바닷속에 있는 땅이지만 육지의 연장선으로 보는 개념입니다.
생물·생명
2023년 2월 6일 작성 됨
Q.
왜 족발에서는 무지개 색이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익은 돼지고기에서 간혹 가다 무지갯빛처럼 푸르스름한 빛을 띄는데 그 이유는 돼지고기에 포함된 비타민D 성분 때문입니다. 비타민D가 열을 받으면 푸르스름한 빛을 띄게 됩니다. 저도 처음 그 현상을 보았을 때 고기가 오래되거나 상한 것은 아닌지 걱정했었는데 전혀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6일 작성 됨
Q.
입체영화를 볼때 안경을 쓰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입체 안경은 3D 안경으로 불리며 양쪽 유리판에는 편광막판이 붙어 있습니다. 편광판은 빛을 가로/세로 한쪽 방향으로만 투과시켜주는 판인데 이를 통해 양쪽 눈에 들어오는 영상을 가로/세로 방향의 빛으로만 보이게 합니다. 다만 3D 안경을 쓴다고 해서 모두 3D 영상으로 보이는 것은 아니고, 영상 자체를 만들 때부터 3D 영상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가로/세로 방향의 빛으로만 영상을 찍어 이를 합성하여 만들어야 3D 영상이 됩니다. 3D 영상은 다른 방향의 빛의 2개 영상을 합쳐서 만든 것이라서 그냥 눈으로 보면 더 희미하게 보입니다.
전기·전자
2023년 2월 6일 작성 됨
Q.
발전 기능을 가진 자전거를 개발할 수 있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발전기능을 가진 자전거는 이미 발명이 되었습니다. 요즘은 잘 사용하지 않지만 옛날 자전거에는 조그만 발전기가 달려 있어서 밤에 달릴 때 앞에 달린 전구를 달리는 동력을 이용하여 발전기를 돌려 전구를 켜고 달렸습니다. 요즘은 배터리가 많이 발전을 해서 발전기가 달린 자전거가 흔적을 감추었습니다. 조그마한 발전기를 더 좋게 만드는 기술 이 있다면 예전 형태의 자전거가 다시 유행할 수도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3년 2월 6일 작성 됨
Q.
핸드폰 , TV의 액정에 영상이 나오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액정화면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액체결정화 디스플레이입니다. LCD 화면을 돋보기 등으로 자세히 들어다보면 조그마한 점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이 점 하나하나가 1개의 색을 표현합니다. 점 하나가 평소에는 액체 상태였다가 전기가 인가되면 결정체(고체상태)로 바뀌게 되는데 이 때는 빛을 통과시키는 양이 바뀌게 됩니다. LCD 화면 뒤에는 백라이트라고 하는 발광원이 존재합니다. 발광원에서 나오는 빛의 양을 전기를 이용해 하나 하나의 점을 제어를 하여 표시를 합니다. 요즘은 LCD 보다 LED(Light Emitting Diode)를 더 많이 이용합니다. LED가 LCD 보다 더 선명한 빛을 내기 때문입니다.
화학
2023년 2월 6일 작성 됨
Q.
겨울이라 보온도시락을 싸가지고 다닙니다.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보온 용기는 내부의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와 바깥쪽 케이스 용기 사이에 열 전달을 늦게 해주는 단열재를 채워 내부의 열이 빨리 식지 못하게 하는 원리입니다. 옛날 방식은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사이에 단열재(주로 스티로폼)을 넣어 부피가 큽니다. 요즘 보온병은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사이를 빈 공간으로 만들고 공기를 빼서 아예 열을 전달할 수 있는 물질 자체를 없애 버리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다만,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간에 연결된 부위가 많으면 열이 전달되어 음식이 빨리 식어버립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5일 작성 됨
Q.
얼음은 왜 물에 뜨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얼음은 물이 얼면서 얼음 결정으로 바뀝니다. 얼음 결정은 물보다 부피가 커집니다. 같은 무게인데 부피가 늘어나면서 밀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밀도가 낮아지면서 물보다 가벼워져 물에 뜨게 되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3년 2월 5일 작성 됨
Q.
클립을 플로그에 꼽으면 정전이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절대 따라하시면 안됩니다. 전기 플러그 양단을 도체로 연결을 하면 전기가 순간적으로 많이 흐르면서 누전이 발생하는데 누전이 감지되어 차단기가 자동으로 내려가는 것입니다. 영화는 상황을 연출한 것이고, 실제 클립을 플러그에 꽂는 것은 감전사고로 사망까지 할 수 있어 절대 따라하시면 안됩니다.
전기·전자
2023년 2월 5일 작성 됨
Q.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작동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배터리와 연료(휘발유 등)을 함께 사용하는 자동차입니다. 전기모터는 전기를 회전력으로 바꾸기도 하지만 반대로 회전력을 받으면 전기가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연료를 이용해 동력을 얻기도 하고 그 동력으로 바퀴의 전기모터를 돌려 전기도 생성하여 배터리를 충전합니다.
화학
2023년 2월 5일 작성 됨
Q.
왜 헬륨가스를 마시면 목소리가 고음으로 변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헬륨은 매우 가벼운 기체입니다. 풍선을 띄우기 위한 용도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가볍다는 것은 밀도가 매우 낮다는 것인데 밀도가 낮은 기체를 통해 소리가 전파될 때는 저항을 적게 받아서 소리의 전파 속도가 더 빨라집니다. 소리의 전파속도가 빨라지면서 더 높은 주파수로 변하게 되어 고음의 목소리로 들리게 됩니다.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