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주식 투자자현황 보면 각 항목에 대하여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승연 경제전문가입니다.외국인은 거래소에 등록된 외국인을 말하고요, 기관의 경우에는 다양하게 나뉘어있습니다. 프로그램매매의 경우 기관투자자나 외국인들이 활용하는 알고리즘을 통한 자동매매(차익거래 비차익거래로 나뉩니다)가 해당되고요. 금융투자는 증권사, 투자자문사 등 자신의 자산을 직접 매매할때 잡히는 부분이라고 보시면 되고요, 투신은 투자신탁의 준말로, 자산운용사가 투자자로부터 모은(펀드같은) 자금을 운용하는 부분입니다. 사모펀드는 사적으로 모집된 펀드를 운용하는 주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상장사가 자신의 주식을 금융사에 위탁해서 자시주식을 취득하는 등의 행위도 금융투자로 잡히기도 합니다.
Q. 왜 물건 살 때 사은품에 집착하게 되는건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이승연 경제전문가입니다.이부분은 아주 전형적인 마케팅 기법중에 하나입니다. 심리를 이용한 마케팅 기법은 9900원에 판매하는 제품, 1+1 제품. 사은품이 들어간 제품 등. 제품의 적정 가격의 판단보다는, 순간 싸게 보이게 하는 마케팅 기법들입니다. 이런 과정에서 기존 제품들과 약간의 용량등을 조정해서, 단가계산을 조금더 힘들게 많드는 얌채짓들도 포함되기도 합니다. 저도 그런제품들을 많이 쓰긴 하지만,긍정적으로 생각해보면. 그런 요소를 이용하는 마케팅의 경우, 너무 비싸게 판매하는 경우는 드믑니다. 싼 가격으로 팔되. 더 싸게 보이려고 할대 그러한 방법들을 많이 쓰기 때문이죠^^개인적으로는, 그냥 편하게 사은품 붙어있는 제품들 구매하는것도. 세상을 편하게 사는 방법중 하나라고 생각됩니다.
Q. 투자 관점에서 대주주 지분은 어떤 요소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승연 경제전문가입니다.대주주의 지분이 많다는 거는 회사를 운영하는 주체, 또는 그 경영을 하는 주체가 주식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뜻이니긍정적인 영향을 많이 미칩니다. 그외에도. 경영권의 안정성이 좋다는 요소가 될 수도 있고, 배당 및 주주환원정책(주가의 가치를 올리는) 방향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는 말이기도 하죠. 그래서 대주주의 지분이 30~50%수준이 되면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대로. 대주주의 지분이 낮으면. 경영권 분쟁으로 인한 수혜(?)같은게 있긴 하나, 그건 너무 투기적인 요소이니 배제하는것이 좋아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