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구본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구본민 전문가입니다.

구본민 전문가
대영산전주식회사
Q.  전등 스위치 설치 위치 궁금증입니다.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네 알고 계신것 처럼,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핫선(HOT)에 설치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핫선에 스위치를 설치하는 이유는 안정성, 효율성 그리고 전기기기의 수명보호에 있습니다. 중성선에 스위치를 설치할 경우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전등이나 다른 기기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중성선에 스위치를 설치할 경우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잔광 현상스위치가 중성선에 연결되면, 스위치를 꺼도 전등에 약한 전류가 흐를 수 있습니다. 이는 LED 전등이나 CFL(형광등)에서 잔광 현상(불이 약하게 깜박이거나 은은하게 켜져 있는 상태)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이런 현상은 특히 LED와 같은 민감한 전자 장치에서 두드러지며, 전등이 꺼졌을 때 완전히 전류가 차단되지 않아 나타납니다.2.전등과 기기의 수명 감소전등이 계속해서 미약한 전류에 노출될 경우, LED와 같은 전자 부품에 미세한 부담이 쌓이게 됩니다. 이로 인해 전등의 온·오프 스위칭에 반복적인 전압 변동이 생겨 수명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특히, 전등이 꺼진 상태에서 잔류 전류로 인해 내부 부품이 미세하게 손상되면서 열화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3.안전 문제핫선이 아닌 중성선에 스위치를 설치하면, 스위치가 꺼진 상태에서도 전등 소켓이나 연결된 부품에 전압이 걸려 있을 수 있어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핫선에 스위치를 설치하면 스위치를 끄는 즉시 전류 흐름이 차단되지만, 중성선에 설치된 경우 스위치를 꺼도 일부 부품에 전압이 남아있어 감전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정리해 보면, 핫선에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이 전등과 전기 기기 보호, 사용자의 안전, 에너지 효율성 측면에서 모두 권장됩니다. 중성선에 스위치를 설치하게 되면 잔광 현상, 수명 감소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스위치 설치 시 반드시 핫선에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전기자전거는 충전후 몇킬로를 전기힘만으로 갈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전기 자전거의 전기모터만을 이용한 주행 거리는 배터리 용량, 모터 출력, 자전거 무게, 지형, 날씨, 속도 등 여러 변수에 따라 달라집니다. 하지만 시중에 출시된 일반적인 자전거의 경우 완충 상태에서 약 40~100km 정도 주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용량이 500Wh인 전기자전거는 평균적으로 평탄한 도로에서 약 60~80km 정도 전기 모터만으로 주행이 가능합니다. 속도 제한에 대해서도 알아보자면, 국내 전기자전거의 최대 속도는 일반적으로 시속 25km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 제한은 안전을 위해 설정된 것으로, 시속 25km를 넘으면 모터가 자동으로 작동을 멈추고, 페달링만으로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Q.  이럴 경우에도 포렌식으로 복구 되나요?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A폰에서 지운 사진을 B폰으로 완전히 옮겼을 때, B 폰에서 포렌식 복구를 통해 A 폰에서 삭제된 사진을 복구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 이유는 데이터가 B폰으로 옮겨질 때는 기존 A폰에서 지원진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고, 설제 저장된 자료만 전송 되기 때문입니다. 즉, A폰에서 지원진 사진은 B폰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포함되지 않으며, 포렌식 복구도 B폰에 저장된 데이터에서만 진행 할 수 있습니다. A폰 자체에 남아있는 흔적을 이용해 복구해야 되므로, B폰으로 전송된 데이터만으로는 A폰에서 삭제된 사진을 복구할 수 없습니다.
Q.  전자기파 흡수 재료의 발전과 통신 장비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전자기파 흡수재료는 통신 장비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고주파 대역을 사용하는 최신 통신 시스템에서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재료들은 통신 장비 내부와 외부의 전자기파 간섭을 줄이고, 신호 품질을 높이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전자기파 흡수 재료가 통신 장비 설계에서 차지하는비중을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전자파 간섭(EMI) 및 전자파 적합성(EMC) 문제 해결통신 장비는 서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여러 전자 부품과 회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고주파 전자기파를 사용하는 5G 및 IoT 통신 장비에서는 전자파 간섭(EMI)이 큰 문제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전자기파 흡수 재료는 이러한 전자파 간섭을 효과적으로 줄여 주며, 다른 장비나 주변 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가 장비 내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합니다. 따라서 전자기파 흡수 재료는 통신 장비가 전자파 적합성(EMC) 테스트를 통과할 수 있도록 돕고, 안정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2.신호 품질 및 전송 속도 향상통신 장비 내외부에서 전자파가 산란되거나 반사되면 신호 왜곡과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자기파 흡수 재료는 이러한 전자파 반사를 흡수하여 신호 간섭을 줄이고, 통신 장비가 더 높은 품질의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특히 고주파 신호가 많이 사용되는 5G, Wi-Fi 6E 등에서는 신호 손실이 적고 명확한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므로, 전자기파 흡수 재료가 설계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3.경량화 및 공간 절약과거에는 전자파 차단을 위해 금속 재질의 실드 케이스가 주로 사용되었지만, 금속 실드는 무겁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반면에, 흡수재는 더 얇고 가볍게 제작할 수 있어 통신 장비의 경량화와 소형화에 큰 기여를 합니다. 특히 소형화가 중요한 스마트폰이나 IoT 장비 설계에서는 흡수 재료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4.고주파 대역 대응5G와 같은 고주파 대역에서는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전자파가 공기 중에서 쉽게 감쇠되고, 흡수되어 신호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고주파 대역에 특화된 전자기파 흡수 재료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통신 장비 설계에서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고 있습니다. 고주파 전자기파 흡수 재료는 고주파 신호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불필요한 간섭을 억제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5.신소재 개발을 통한 성능 개선전자기파 흡수 재료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최근에는 그래핀, 탄소 나노튜브,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와 같은 신소재가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소재는 기존 흡수재보다 전자파 흡수율이 높고, 더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어, 통신 장비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신소재 개발 덕분에 통신 장비 설계에서 전자기파 흡수 재료의 역할이 더 커지고 있으며, 차세대 통신 기술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정리해 보면, 전자기파 흡수 재료는 통신 장비 설계에서 신호 간섭을 줄이고, 전송 품질을 높이며, 장비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여 그 비중이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미래 통신 장비 설계에서는 전자기파 흡수 재료가 필수적인 핵심 기술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고주파 대역 통신 시스템에서는 그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Q.  소형 전자 장치의 배터리와 소모 전류 절감 기술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소형 전자 기기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소모 전류를 줄이는 기술들이 발전해 왔씁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주로 전력관리와 효율 개선에 집중되어 있으며, 작은 전자 장치의 효율을 극대화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주요한 소모전류 절감 기술로는 다음과 같은 발전이 있어 왔습니다. 1. 초저전력 마이크로컨트롤러(MCU) 및 전력 관리 IC소형 기기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컨트롤러(MCU)와 전력 관리 IC는 더 낮은 전력을 소비하는 방향으로 설계되고 있습니다. 이들 IC는 매우 낮은 대기 전력을 유지할 수 있는 '슬립 모드'와 '저전력 모드'를 갖추고 있어, 기기가 필요할 때만 전력을 사용하도록 조정합니다. 예를 들어, 일반 작동 모드에서는 높은 전력을 소비하다가, 일정 시간 동안 기기가 사용되지 않으면 저전력 모드로 전환해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합니다.2.전력 효율이 높은 통신 프로토콜블루투스 LE(Low Energy)와 같은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이 소형 기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프로토콜은 데이터 전송 시 순간적으로 전력을 사용하고, 그 외의 시간에는 거의 전력을 소모하지 않습니다. BLE를 비롯해 Zigbee, LoRa와 같은 무선 프로토콜은 소형 기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3.스마트 센서 및 감지 기술최신 소형 기기에는 '스마트 센서'가 탑재되어, 필요할 때만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작동합니다. 예를 들어, 환경 센서나 모션 센서는 특정 조건(예: 움직임이 감지될 때)에만 활성화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4.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에너지 하베스팅(에너지 수확)은 주변 환경에서 에너지를 수집해 기기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소형 기기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 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태양광, 진동, 열 등을 활용해 소형 전자 기기가 자체적으로 전력을 보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입니다. 웨어러블 장치나 IoT 기기에서는 이러한 하베스팅 기술을 이용해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고 있습니다.5.고효율 전력 변환 회로소형 전자 기기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고효율 DC-DC 변환기 및 LDO(Low Dropout Regulator) 등이 발전해왔습니다. 이들 회로는 입력 전압을 최적화하여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합니다. 고효율 전력 변환 회로는 배터리 전력을 보다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소형 기기에서 유용합니다.6.전력 분배 최적화최신 소형 전자 기기에서는 전력 분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계됩니다. 예를 들어, CPU, 센서, 디스플레이 등의 부품별로 전력 사용을 최적화하여, 각 부품이 필요할 때만 전력을 사용하게 하고, 불필요할 때는 자동으로 전력을 차단하는 방식입니다. 이로 인해 기기 전체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7.AI 기반 전력 관리AI 알고리즘을 이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학습하여 전력 사용을 효율적으로 조절합니다. 이를 통해 기기가 비활성 상태이거나 사용 빈도가 낮을 때 자동으로 저전력 모드로 전환되며,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는 필요한 전력을 우선 공급하는 방식으로 배터리 수명을 늘릴 수 있습니다.정리해 보면, 소형 전자 기기에서는 소모 전류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도입되고 발전하면서, 배터리 수명 연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웨어러블, IoT,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기기에 널리 적용되어 사용자들이 보다 오랜 시간동안 안정적으로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363738394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