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구본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구본민 전문가입니다.

구본민 전문가
대영산전주식회사
Q.  반도체에서의 8대 공정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반도체 제조 공정은 매우 복잡하고 정밀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 지며, 여러 단계로 나뉘어집니다. 그 중에서 8대 공정은 대표적인 주요 단계로, 반도체 칩이 만들어 지는 핵심적인 공정을 의미합니다. 이 공정들은 각기 다른 기술과 장비를 사용하여, 웨이퍼(반도체 기판)에 미세한 회로를 형성하고 칩을 완성합니다. 8대 공정을 간단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산화 공정(Oxidation)목적: 실리콘 웨이퍼 표면에 산화막(SiO₂)을 형성하는 과정.설명: 산화막은 반도체 소자의 절연층이나 마스크층으로 사용됩니다. 이를 위해 웨이퍼를 고온의 산소 또는 수증기 속에 넣어 산화를 시킵니다.포토 리소그래피 (Photolithography)목적: 웨이퍼에 미세한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설명: 이 과정에서는 레지스트(감광재)를 웨이퍼에 도포한 후, 마스크를 사용해 빛을 쪼여 필요한 부분에만 노출시킵니다. 이후 노출된 부분을 제거하여 패턴을 형성합니다. 이 공정은 반도체 회로를 그리는 핵심 단계입니다.식각 공정 (Etching)목적: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회로 패턴을 만들기 위한 과정.설명: 포토 리소그래피로 형성된 패턴에 따라 레지스트가 남아있는 부분 외의 부분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제거합니다. 주로 습식 식각과 건식 식각 방식이 사용됩니다.증착 공정 (Deposition)목적: 웨이퍼 표면에 얇은 층을 증착하여 필요한 물질을 추가하는 과정.설명: 화학기상증착(CVD), 물리기상증착(PVD) 등의 방법을 통해 금속, 절연체, 반도체 재료를 웨이퍼에 얇게 입힙니다. 이를 통해 회로를 구성하는 층을 형성합니다.이온 주입 (Ion Implantation)목적: 웨이퍼에 특정한 전기적 성질을 부여하기 위한 과정.설명: 고속으로 가속된 이온을 웨이퍼에 주입하여, 반도체 물질에 불순물을 첨가합니다. 이를 통해 전도성(도핑)을 조절하고 트랜지스터 등의 소자를 만듭니다.금속 배선 (Metallization)목적: 소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을 형성하는 과정.설명: 반도체 소자들을 연결하기 위해 금속(주로 알루미늄이나 구리)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전기 회로를 완성합니다. 이 단계는 소자 간 신호 전달을 가능하게 합니다.평탄화 공정 (Planarization)목적: 웨이퍼 표면을 평탄하게 만드는 과정.설명: 다양한 공정을 거치면서 생긴 울퉁불퉁한 웨이퍼 표면을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같은 방법으로 평탄하게 만들어, 후속 공정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합니다.패키징 (Packaging)목적: 완성된 반도체 칩을 보호하고 외부와 연결할 수 있도록 패키지로 감싸는 과정.설명: 제조된 반도체 칩을 보호하기 위해 패키지로 감싸고,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와이어 본딩이나 플립 칩 방법을 사용하여 접속 단자를 만듭니다. 이후 제품 형태로 완성됩니다.이 공정들은 하나의 작은 웨이퍼에 고도로 복잡한 반도체 소자를 제작하기 위해 수백번의 세부 단계를 거칩니다. 반도체 제조는 나노미터 단위의 정밀함이 요구되는 과정이라, 이 공정들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Q.  공사현장에서 CD배관이라고 하는것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오늘 즐거우셨다니 좋으셨겠어요. CD배관(Corrugated Duct)은 전선이나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배관으로 , 주로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CD"는 Corrugated Duct의 약자로, 주름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죠. 이 배관은 여러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어 전기 설치 작업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CD배관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유연성: 배관 자체가 주름져 있어서 쉽게 구부러질 수 있어, 복잡한 경로나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용이합니다.다양한 색상: 주로 회색과 주황색이 많이 사용되지만, 다른 색상도 있을 수 있습니다. 색상은 주로 용도나 제조사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회색은 전기 배선, 주황색은 통신 배선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절연성: 플라스틱 재질이기 때문에 절연 효과가 뛰어나 전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가벼움: 금속 배관에 비해 가볍고 설치가 쉽습니다.방수 및 방진: 물과 먼지로부터 전선을 보호하는 기능도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주로 건물의 내외부 전선보호와 통신 케이블 보호에 많이 사용되며, 전기 공사나 통신 설치 현장에서 필수적인 자재 중 하나 입니다.
Q.  헤르츠란 어떤 단위를 알려주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헤르츠(Hz)는 주파수를 나타내는 단위로, 1초에 얼마나 많은 진동이나 사이클이 발생하는지를 측정합니다. 쉽게 말해, 어떤 현상이 1초에 몇 번 반복되는지를 헤르츠라는 단위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주로 전자기파(전차파, 빛 등)나 소리, 전기적인 진동 등의 주기적인 현상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가전 제품에서 사용하는 전기의 주파수는 60Hz라고 하는데, 이것은 1초에 전류의 방향이 60번 바뀐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음악에서 소리의 높낮이도 헤르츠로 표현되는데, 예를 들어 A4(라 음)는 약 440Hz로, 1초에 440번의 진동을 하는 소리입니다.정리하면, 헤르츠는 주파수의 단위이며, 1초 동안의 반복 횟수를 나타냅니다.
Q.  케이블을 포설할 떄 허용전류라는 것을 많이 들었는데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허용전류란 전선이나 케이블이 안전하게 견딜 수 있는 최대 전류의 양을 의미합니다. 즉, 전선이나 키이블이 과열되지 않고, 손상 없이 정상적인 전류를 흘릴 수 있는 한계를 말하는 것입니다. 전기 설비에서 허용전류(Ampacity)는 매우 주용한 개념으로, 전선의 크기, 절연재, 설치환경에 따라 결정 됩니다. 허용 전류가 의미 하는 것안전하게 허용되는 전류: 케이블이 물리적으로 손상되거나 과열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전류의 최대치입니다.정격 전류: 전선의 절연재와 금속 소재에 따라 다르며, 특정 조건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 안전하게 흐를 수 있는 전류입니다.열 관리: 케이블이 흐르는 전류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자연스럽게 발산하여 온도가 안전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허용전류의 기본 개념입니다.허용 전류를 초과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절연재 손상: 케이블의 절연재가 녹거나 손상되어 전기 누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감전이나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을 초래합니다.화재 발생: 케이블이 과열되면 주변의 가연성 물질에 불이 붙어 전기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케이블 손상: 과열로 인해 케이블이 물리적으로 손상되면, 전기 공급 중단 또는 장비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전기적 효율 저하: 과도한 전류는 전선 저항을 증가시켜 열을 발생시키고, 전송 효율을 떨어뜨립니다. 이로 인해 전력 손실이 증가하게 됩니다.정리해 보면, 허용 전류는 전기 설비의 안전과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기준입니다. 허용전류를 초과하면 과열, 절연 손상, 전기화재 등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허용전류를 준수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케이블이 안전하게 전류를 흐를 수 있도록 설계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Q.  전기에서 홍수량 갈수량 평수량 등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전기 관련 공부를 하시다가 홍수량, 갈수량, 평수량이라는 용어를 접하신 것은 아마도 수력발전이나 전력 수급 계획과 관련된 개념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 용어들은 수자원, 특히 하천이나 댐을 통한 전력 생산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수력 발전소에서 물의 흐름과 양을 기준으로 발전량을 계획할 때 사용됩니다. 홍수량(Flood Flow) : 홍수량은 하천이나 댐에 물이 범람할 정도로 많이 흘러들어오는 최대 유량을 의미합니다. 홍수기(장마철이나 폭우가 집중되는 시기)에 물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발생하는 유량입니다. 홍수량은 수력발전소에서는 지나치게 큰 유량을 제어하고 관리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의미: 홍수 시에 하천이나 댐에 흘러들어오는 물의 최대 양.수력 발전에서의 역할: 너무 많은 물이 유입되면 댐이나 발전소 설비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으므로, 이를 관리하기 위한 설비와 방류 시스템이 필요합니다.갈수량(Low Flow or Minimum Flow) : 갈수량은 건기(물이 부족한 시기)나 물이 매우 적게 흐를 때의 최소 유량을 의미합니다. 하천이나 댐에 물이 거의 없는 상태를 나타내며, 이 경우에는 발전량이 줄어들거나, 수력 발전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의미: 물이 가장 적게 흐를 때의 유량.수력 발전에서의 역할: 갈수량이 너무 낮으면 발전이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수력 발전소는 건기나 갈수 시기를 대비한 전력 공급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평수량(Normal Flow or Average Flow) : 평수량은 일반적인 시기에 흐르는 평균적인 유량을 의미합니다. 이는 홍수량과 갈수량의 중간 수준이며, 하천이나 댐에서 보통 수준의 물이 흐를 때를 나타냅니다.의미: 물이 평균적으로 흐르는 유량.수력 발전에서의 역할: 평수량은 수력발전소가 안정적으로 발전을 유지할 수 있는 유량을 의미하며, 주로 이 양을 기준으로 발전 설계를 하게 됩니다.수량의 안정적인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전력 생산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과부하나 공급 부족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적절한 수량이 유지되는 것이 이상적이므로, 홍수나 갈수와 같은 극단적인 상황을 잘 관리하는 것이 수력 발전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입니다.수량이 적당해야 한다는 말은, 발전소의 안정적 운영과 전력 생산의 예측 가능성을 위해 지나치게 많거나 적지 않은, 평균적인 수준의 물의 흐름이 이상적이라는 의미입니다.
56575859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