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과학분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과학분야 전문가입니다.
조용찬 전문가
한국네트웍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토목공학
2023년 3월 2일 작성 됨
Q.
물가 근처가 아닌 내륙에서 안개는 왜 생기는 것인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조용찬 과학전문가입니다.안개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한 것이라는 점은 구름과 비슷하지만 지표면 가까이에서 응결해 떠 있는 것입니다.대기중에는 어디든지 수증기가 있고, 내륙이라고 해서 공기중에 수증기가 없는게 아닙니다.현재 숨쉬는 지금도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수증기가 있습니다.
화학
2023년 3월 2일 작성 됨
Q.
이산화탄소로 인해서 온도가 상승한다고 하는데, 만약에 이산화탄소가 없으면?
안녕하세요. 조용찬 과학전문가입니다.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입니다.때문에 이를 줄이게 되면 지구의 온도는 내려가게 될것이고요.계절별 평균온도는 낮아질수는 있겠으나, 대한민국의 지리적 특성상 겨울만 있을리는 없습니다.
화학
2023년 3월 2일 작성 됨
Q.
물이 얼면 불투명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용찬 과학전문가입니다.얼음이 얼면 불투명해지는 경우가 있는데요.이는 물이 얼때 공기가 들어가서 그렇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3월 2일 작성 됨
Q.
사람은 물속에서 호흡할수있는 방법이없나요?
안녕하세요. 조용찬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이 물속에서 숨을 쉬기 위해서는 물이 코 또는 입으로 들어올때 산소를 빼내서 폐로 보내야 합니다.하지만 현재로서는 가능성이 없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3월 1일 작성 됨
Q.
빙하는 언제 어떻게 생겼을까요?
안녕하세요. 조용찬 과학전문가입니다.학자들에 의하면 빙하기에 의한 극 지방의 본격적인 얼음의 형성은 남극의 빙상이 생긴 4,000만 년 전의 신생대 에오세 말기를 그 시초로 보고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27일 작성 됨
Q.
바닷물은 지구에 몇퍼센트를 차지 하나요?
안녕하세요. 조용찬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표면의 71%가 물로 덮여 있습니다.다만 빙하가 녹으면서 이 수치는 점점 올라갈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26일 작성 됨
Q.
바다에서 화산이 폭발하면 어떻게되나요?
안녕하세요. 조용찬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에서 화산이 터지게 되면 바로바로 냉각이 되면서 산이 생기게 되며 육지 위로 올라오면 섬이 생기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26일 작성 됨
Q.
태양이 사라지면 인간들은 살수가 없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조용찬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이 사라지면 우리는 살아갈 수 없습니다.영하의 세상에서 살아가겠죠.지구의 자원은 한계가 있을것이고, 언젠간 고갈될것입니다.태양 또한 별 중에하나로 현재 청년의 나이에 해당되며 생이 다하게 되면 폭팔할것입니다. 말이 청년이지 아직 수천만,수억년은 빛을 낼것입니다.이주는 현재 화성을 연구중이며, 시기상조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25일 작성 됨
Q.
날씨가 저기압일 때 몸상태도 안 좋아지나요?
안녕하세요. 조용찬 과학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근거가 없습니다.비가온다는 이야기가 있으면 무릎이 시린다거나 기운이 처진다고들 많이 말씀하는데 과학적인 근거는 없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25일 작성 됨
Q.
지구는 왜 24시간 자전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조용찬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진것은 없으나 지구가 생성될 당시 우주 바위들이 지구와 흡수되는 과정에서 지구와 충돌하게 됐고 이로 인해 많은 힘이 가해지고, 그 힘에 의해 가속도가 붙어 지금처럼 빠른 속도로 자전을 하게 됐다는 가설이 있습니다.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