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문학
2024년 11월 6일 작성 됨
Q.
이모티콘을 만드는 방식에 동양과 서양의 창점은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동양전체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최소한 한국에서는 (ㅜㅜ=우는얼굴) 처럼 그대로 읽는 방식의 이모티콘이 많고서양측에서는 :)=웃는얼굴 이런식으로 가로로된 얼굴 표현이 많습니다.서양의 넷 환경은 [닉네임]:채팅 이런식으로 매우 기초적인 채팅부터 시작되서 항상 나오는 콜론((:))을 활용하는 식으로 발전했고동양은 비교적 나중에 수입되 게시판 형식이 유행했기 때문에그런 차이가 생긴 것이라 알려져 있습니다
문학
2024년 11월 6일 작성 됨
Q.
소설에서 보여주기는 어떤것을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showing 또는 보여주기는 작품을 묘사하는 방식 으로말하기 telling과 반대되는 개념입니다.예를 들어 a라는 구두쇠 캐릭터를 소개하고 싶을 떄"a는 구두쇠다" 라고 쓰면 그 성격을 화자가 직접 [말하고] 있지만"우리가 모였을 때 a가 뭘 사는걸 본 사람은 아무도 없다"라고 쓴다면, 독자가 자연스럽게 a가 구두쇠인걸 알 수 있도록상황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죠
문학
2024년 11월 6일 작성 됨
Q.
작가들이 생각하기에 장편 소설과 단편 소설 어느 것이 더 쉬운 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당연한 말이지만 작가라고 다 같은 사람이 아니니뭐가 쉽고 뭐가 어려운지도 당연히 개인차가 있습니다.그래도 일반론을 말해보자면"명작" 이라 할만한 높은 기준점을 잡고 있다면이래 저래 빌드업, 그러니까 복선이나 상황설명 같은 준비를 할 수 있는장편이 쉽지만일단 작품하나 완성한다 라는 기준이라면글자수가 적은 단편이 자연히 쉽습니다
문학
2024년 11월 5일 작성 됨
Q.
신화도 있고, 전설이나 민담도 있는데 소설은 이런 이야기들과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그 셋을 합쳐서 설화라고 합니다설화들은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구전을 가지고 있으며현대인은 설화를 당연히 창작이라 생각하지만그 이야기들이 만들어지고 가장 활발하게 전해지던 시기의 사람들은사실이라고 믿었을 것이란 점이처음부터 픽션이란 것이 인지되며주로 글로써 퍼지는 소설과의 차이점 입니다
문학
2024년 11월 5일 작성 됨
Q.
결혼 날짜 받고 나서 장례식장에 가지 않는 것은 어떤 이유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명확한 유례는 없습니다.좋은감정과 슬픈감정을 연속으로 느끼기 힘든 건 너무나 당연한 일이니까요그래도 이유로 추정되는 것은 몇가지 있는데1.옛날의 "경조사"는 최소 3일 정도 되는 장기 행사 였습니다그렇기 때문에 행사가 겹치면 한쪽에 참여 못하는건 당연한 일이었습니다2. 장례식은 죽음과 관련된 일이기 때문에 참여한 후에 찜찜한 기분이 드는게 보통이었습니다실제로 장례식에 다녀오면 소금을 뿌리거나 신성한 나뭇가지로 몸을 치는등"정화"를 뜻하는 행동을 하는 징크스는 전세계에서 나타납니다그렇기 때문에 장례식과 다른 행사를 연속으로 참가하는 경우또한 불길한 징크스가 되는 것입니다3.좀더 과학적인 해석으론, 옛날사람들은 미생물이나 위생같은 걸모르기 때문에병사한 사람 장례식에 참여했다 다음 행사때 전염시키는경험이 쌓였고그것이 "죽은 영혼이 붙어서 부정타는 것"이라고 알려졌기 때문이다등의 설이 있습니다
136
137
138
139
1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