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문학
문학 이미지
Q.  문학 작품에서 감정이입과 객관적 상관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객관적 상관물은 창작자가 표현하려는 정서, 사상 등을 다른 사물이나 상황에 빗대어 표현할 때이 빗대는 대상이 되는 사물. 상황을 뜻합니다이런 객관적 상관물 중에서 화자의 감정과 빗대어진 대상이 모두 같은 정서라면감정이입의 대상이 됩니다예를 들어, "저기 개들도 커플인데 나는 혼자 뭐하냐" 라는 대사가 나온다면감정에 대한 직접적 말은 없지만 '나는 외롭다' 라는 뜻이 확실함으로개커플이 객관적 상관물 이지만행복한 개 커플은 나의 외로움과 정 반대 이기 때문에감정이입의 대상은 아닙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시인 서정주는 친일행위를 어떤것을 했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시의 이야기(평론), 인보정신(수필) 항공일(일제 행사 기념시) 등등매우 많은 친일 작품을 최선을 다해 썼습니다.친일 행적을 한 작가가 한두명은 아니지만서정주는 매우 뛰어난 필력을 지녀서 친일시들 조차 아무것도 모르고 읽으면 아름다울 정도였고 그 실력덕분에 해방 후에도 문단의 거성이었기 때문에 더욱 친일 행적이 주목을 받았습니다이러한 친일작품 중 가장 잘 알려진 「松井(마쓰이) 오장 송가」를 올리며 글 마무리 하겠습니다松井(마쓰이) 오장 송가 아아 레이테만은 어데런가언덕도산도뵈이지 않는,구름만이 둥둥둥 떠서 다니는멫천 길의 바다런가.아아 레이테만은여기서 멫만 리런가……. 귀 기울이면 들려오는아득한 파도소리…….우리의 젊은 아우와 아들들이그 속에서 잠자는 아득한 파도소리……. x얼굴에 붉은 홍조를 띄우고「갔다가 오겠습니다」웃으며 가드니새와 같은 비행기가 날아서 가드니,아우야 너는 다시 돌아오진 않는다 x마쓰이 히데오!그대는 우리의 오장(伍長). 우리의 자랑.그대는 조선 경기도 개성 사람.인씨(印氏)의 둘째 아들. 스물한 살 먹은 사내. 마쓰이 히데오!그대는 우리의 신풍(神風) 특별공격대원.정국대원(靖國隊員).정국대원의 푸른 영혼은살아서 벌써 우리게로 왔느니,우리 숨 쉬는 이 나라의 하늘 위에조용히 조용히 돌아왔느니 x우리의 동포들이 밤과 낮으로정성껏 만들어 보낸 비행기 한 채에그대, 몸을 실어 날았다간 내리는 곳,소리 있이 내리는 고흔 꽃처럼오히려 기쁜 몸짓 하며 내리는 곳,쪼각쪼각 부서지는 산더미 같은 미국 군함!수백 척의 비행기와,대포와, 폭발탄과,머리털이 샛노란 벌레 같은 병정을 싣고우리의 땅과 목숨을 뺏으러 온원수 영미의 항공모함을,그대몸뚱이로 내려쳐서 깨었는가?깨뜨리며 깨뜨리며 자네도 깨졌는가! x장하도다우리의 육군항공 오장 마쓰이 히데오여.너로 하여 향기로운 삼천리의 산천이여.한결 더 짙푸르른 우리의 하늘이여. x아아 레이테만은 어데런가멫천 길의 바다런가.귀 기울이면여기서도, 역력히 들려오는아득한 파도소리…….레이테만의 파도소리…….
문학
문학 이미지
Q.  관습적 표현과 관용적 표현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그 둘의 차이점은 거의 없습니다. 굳이 따지자면 한자가 다르단 정도 밖에 없죠관용적 표현을 사전에서 찾아보면필연적이지 않은, 관습적인 속성을 지니는 언어 표현 이라고 나오고심지어 영어로도관습적 표현(conventional expression: CE)과 관용적 표현(idiomatic expression: IE)은 같은 뜻이라고 나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청록파라는 이름은 어떻게 해서 만들어진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 입니다그들을 일컬어 "청록파"라고 부르는 것은, 해방 이후 1946년에 다함께 이라는 제목의 시집을 함께 발간하였기 때문입니다이 청록집이라는 제목은 박목월의 시 중 청노루에서 따온 것이구요
문학
문학 이미지
Q.  고수레는 음식을 먹기 전에 조금 떼어서 허공에 던지는 행위인데, 그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고수레의 어원은 모두 민간어원(출처 불명의 전승)이기 때문에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습니다민간어원의 예시로는고조선 시대 고시(高矢)라는 사람에게 농사짓는 법을 배운 사람들이 감사의 마음으로 음식을 먹을 때 일부를 던지며 '고시네'라고 말한 데서 유래된 것곡식의 신(神)인 고씨(高氏)에게 제물을 바치는 '고씨례'(高氏禮) 의 변형이라는 것고씨 성을 가진 이가 굶주려 죽자, 마을 사람들이 이를 불쌍하게 여겨 음식을 나눠 주었다는 것도선국사(통일 신라의 유명한 승려)는 성씨가 고씨인 어머니의 무덤을 전라도 만경뜰에 만들었는데, 마을 사람들이 무덤에 묻힌 도선국사의 어머니에게 진지 잡수라고 음식을 나누자 그해가 엄청난 풍년(豐年)이었기 때문에그걸 반복 했다는 것등이 있습니다
1411421431441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